불경

석보상절 6권

malssum 2021. 9. 22. 10:05
반응형

釋詳6:1a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ᄒᆞ야 說法ᄒᆞ더시다 龍鬼 위ᄒᆞ야 說法ᄒᆞ샤미 부텻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찻 ᄒᆡ 乙酉ㅣ라
부톄 目連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네 迦毗羅國에 가아 아바니ᇝ긔와 아ᄌᆞ마니ᇝ긔와 아ᄌᆞ마니ᄆᆞᆫ 大愛道ᄅᆞᆯ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釋詳6:1b

兄니미시니 양ᄌᆡ 摩耶夫人만 몯ᄒᆞ실ᄊᆡ 버근 夫人이 ᄃᆞ외시니라 아자바님내ᄭᅴ 다 安否ᄒᆞᅀᆞᆸ고 ᄯᅩ 耶輸陁羅ᄅᆞᆯ 달애야 恩愛ᄅᆞᆯ 그쳐 羅睺羅ᄅᆞᆯ 노하 보내야 샹재 ᄃᆞ외에 ᄒᆞ라

羅睺羅ㅣ 得道ᄒᆞ야 도라가ᅀᅡ 어미ᄅᆞᆯ 濟渡ᄒᆞ야 涅槃 得호ᄆᆞᆯ 나 ᄀᆞᆮ게 ᄒᆞ리라
目連이 그 말 듣ᄌᆞᆸ

 

釋詳6:2a

즉자히 入定ᄒᆞ야 펴엣던 ᄇᆞᆯᄒᆞᆯ 구필 ᄊᆞᅀᅵ예 ᄲᆞᆯ론 주를 니르니라 迦毗羅國에 가아 淨飯王ᄭᅴ 安否 ᄉᆞᆲ더니 耶輸ㅣ 부텻 使者왯 다 드르시고 使者ᄂᆞᆫ 브리신 사ᄅᆞ미라 靑衣ᄅᆞᆯ 브려 긔별 아라 오라 ᄒᆞ시니 羅睺羅 ᄃᆞ려다가 沙彌 사모려 ᄒᆞᄂᆞ다 ᄒᆞᆯᄊᆡ 沙彌ᄂᆞᆫ 새 出家ᄒᆞᆫ 사ᄅᆞ미니 世間앳

 

釋詳6:2b

ᄠᅳ들 그치고 慈悲ㅅ ᄒᆡᆼ뎌글 ᄒᆞ다 ᄒᆞ논 ᄠᅳ디니 처ᅀᅥᆷ 佛法에 드러 世俗앳 ᄠᅳ디 한 젼ᄎᆞ로 모로매 모딘 ᄠᅳ들 그치고 慈悲ㅅ ᄒᆡᆼ뎌글 ᄒᆞ야ᅀᅡ ᄒᆞ릴ᄊᆡ 沙彌라 ᄒᆞ니라 耶輸ㅣ 그 긔별 드르시고 羅睺羅 더브러 노ᄑᆞᆫ 樓 우희 오ᄅᆞ시고 樓는 다라기라 門ᄃᆞᆯᄒᆞᆯ 다 구디 ᄌᆞᆷ겨뒷더시니 目連이 耶輸ㅅ宮의 가 보니 門ᄋᆞᆯ 다 ᄌᆞᄆᆞ고 유무 드류ᇙ 사ᄅᆞᆷ도 업거늘 즉자히


釋詳6:3a
神通力으로 樓 우희 ᄂᆞ라 올아 耶輸ㅅ 알ᄑᆡ 가 셔니 耶輸ㅣ 보시고 ᄒᆞ녀ᄀᆞ론 분별ᄒᆞ시고 ᄒᆞ녀ᄀᆞ론 깃거 구쳐 니러 절ᄒᆞ시고 안ᄌᆞ쇼셔 ᄒᆞ시고 世尊ㅅ安否 묻ᄌᆞᆸ고 니ᄅᆞ샤ᄃᆡ 므스므라 오시니ᅌᅵᆺ고
目連이 ᄉᆞᆯᄫᅩᄃᆡ 太子 羅睺羅ㅣ 나히 ᄒᆞ마 아호빌ᄊᆡ 出家

 

釋詳6:3b
ᄒᆡ여
聖人ㅅ道理 ᄇᆡ화ᅀᅡ ᄒᆞ리니 어버ᅀᅵ 子息 ᄉᆞ랑호ᄆᆞᆫ 아니한 ᄉᆞᅀᅵ어니와 ᄒᆞᄅᆞᆺ 아ᄎᆞᄆᆡ 命終ᄒᆞ야 命終은 목숨 ᄆᆞᄎᆞᆯ씨라 모딘 길헤 ᄠᅥ러디면 恩愛ᄅᆞᆯ 머리 여희여 어즐코 아ᄃᆞᆨᄒᆞ야 어미도 아ᄃᆞᄅᆞᆯ 모ᄅᆞ며 아ᄃᆞᆯ도 어미ᄅᆞᆯ 모ᄅᆞ리니 羅睺羅ㅣ 道理ᄅᆞᆯ 得ᄒᆞ야ᅀᅡ 도라와 어마니

 

釋詳6:4a
ᄆᆞᆯ
濟渡ᄒᆞ야 네 가짓 受苦ᄅᆞᆯ 여희여 涅槃 得호ᄆᆞᆯ 부텨 ᄀᆞᄐᆞ시긔 ᄒᆞ리ᅌᅵ다 네 가짓 受苦ᄂᆞᆫ 生과 老와 病과 死왜라
耶輸ㅣ 니ᄅᆞ샤ᄃᆡ 如來 太子ㅅ 時節에 나ᄅᆞᆯ 겨집 사ᄆᆞ시니 내 太子ᄅᆞᆯ 셤기ᅀᆞᄫᅩᄃᆡ 하ᄂᆞᆯ 셤기ᅀᆞᆸ ᄃᆞᆺᄒᆞ야 ᄒᆞᆫ 번도 디만ᄒᆞᆫ 일 업수니 妻眷 ᄃᆞ외얀디 三年이

釋詳6:4b
몯차이셔 世間 ᄇᆞ리시고 城 나마 逃亡ᄒᆞ샤 車匿이 돌아 보내샤 盟誓ᄒᆞ샤ᄃᆡ 道理 일워ᅀᅡ 도라오리라 ᄒᆞ시고 鹿皮옷 니브샤미 친 사ᄅᆞᆷ ᄀᆞ티 묏고래 수머 겨샤 여슷 ᄒᆡᄅᆞᆯ 苦行ᄒᆞ샤 부텨 ᄃᆞ외야 나라해 도라오샤도 ᄌᆞ올아ᄫᅵ 아니ᄒᆞ샤 아랫 恩惠ᄅᆞᆯ 니저ᄇᆞ리샤 길 녀ᇙ

釋詳6:5a
사ᄅᆞᆷ과 ᄀᆞ티 너기시니 나ᄂᆞᆫ 어버ᅀᅵ 여희오 ᄂᆞᄆᆡ 그ᅌᅦ 브터 사로ᄃᆡ 우리 어ᅀᅵ 아ᄃᆞ리 외ᄅᆞᆸ고 입게 ᄃᆞ외야 人生 즐거ᄫᅳᆫ ᄠᅳ디 업고 주구믈 기드리노니 목수미 므거ᄫᅳᆫ 거실ᄊᆡ 손ᅀᅩ 죽디 몯ᄒᆞ야 셟고 애왇븐 ᄠᅳ들 머거 갓가ᄉᆞ로 사니노니 비록 사ᄅᆞᄆᆡ 무레 사니고도 즁ᄉᆡᆼ마도 몯호ᅌᅵ다
셜ᄫᅳᆫ 人生이 어

 

釋詳6:5b
딋던
이 ᄀᆞᄐᆞ니 이시리ᅌᅵᆺ고
이제 ᄯᅩ 내 아ᄃᆞᄅᆞᆯ ᄃᆞ려가려 ᄒᆞ시ᄂᆞ니 眷屬 ᄃᆞ외ᅀᆞᄫᅡ셔 셜ᄫᅳᆫ 일도 이러ᄒᆞᆯ쎠 眷屬ᄋᆞᆫ 가시며 子息이며 죵이며 집아ᇇ 사ᄅᆞᄆᆞᆯ 다 眷屬이라 ᄒᆞᄂᆞ니라 太子ㅣ 道理 일우샤 ᄌᆞ걔 慈悲호라 ᄒᆞ시ᄂᆞ니 慈悲ᄂᆞᆫ 衆生ᄋᆞᆯ 便安케 ᄒᆞ시ᄂᆞᆫ 거시어늘 이제 도ᄅᆞᅘᅧ ᄂᆞᄆᆡ 어ᅀᅵ 아ᄃᆞᄅᆞᆯ 여희

 

釋詳6:6a

ᄒᆞ시ᄂᆞ니 셜ᄫᅳᆫ 잀 中에도 離別 ᄀᆞᄐᆞ니 업스니 離別은 여흴씨라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ᄒᆞ고 目連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도라가 世尊ᄭᅴ 내 ᄠᅳ들 펴아 ᄉᆞᆯᄫᆞ쇼셔
그 ᄢᅴ 目連이 種種方便으로 다시곰 ᄉᆞᆯᄫᅡ도 耶輸ㅣ 잠ᄭᅡᆫ도 듣디 아니ᄒᆞ실ᄊᆡ 目連이 淨飯

 

釋詳6:6b
王ᄭᅴ
도라가 이 辭緣을 ᄉᆞᆯᄫᆞᆫ대 王이 大愛道ᄅᆞᆯ 블러 니ᄅᆞ샤ᄃᆡ 耶輸는 겨지비라 法을 모ᄅᆞᆯᄊᆡ 즐급 드리워 ᄃᆞᆺ온 ᄠᅳ들 몯 ᄡᅳ러 ᄇᆞ리ᄂᆞ니 그듸 가아 아라듣게 니르라
大愛道ㅣ 五百靑衣 더브르시고 耶輸ᄭᅴ 가아 種種方便으로 두ᅀᅥ 번 니르시니 耶

 

釋詳6:7a
輸ㅣ
ᄉᆞᆫᄌᆡ 듣디 아니ᄒᆞ시고 大愛道ᄭᅴ ᄉᆞᆯᄫᅩ샤ᄃᆡ 내 지븨 이시ᇙ 저긔 여듧 나랏 王이 난겻기로 ᄃᆞ토거늘 우리 父母ㅣ 듣디 아니ᄒᆞ샨 고ᄃᆞᆫ 釋迦太子ㅣ ᄌᆡ죄 奇特ᄒᆞ실ᄊᆡ 奇ᄂᆞᆫ 神奇ᄒᆞᆯ씨오 特은 ᄂᆞᄆᆡ 므리예 ᄠᆞ로 다ᄅᆞᆯ씨라 우리 父母ㅣ 太子ᄭᅴ 드리ᅀᆞᄫᆞ시니 夫人이 며느리 어드샤ᄆᆞᆫ

釋詳6:7b
溫和히 사라 千萬 뉘예 子孫이 니ᅀᅥ가ᄆᆞᆯ 위ᄒᆞ시니 太子ㅣ ᄒᆞ마 나가시고 ᄯᅩ 羅睺羅ᄅᆞᆯ 出家ᄒᆡ샤 나라 니ᅀᅳ리ᄅᆞᆯ 긋게 ᄒᆞ시ᄂᆞ니 엇더ᄒᆞ니ᅌᅵᆺ고
大愛道ㅣ 드르시고 ᄒᆞᆫ 말도 몯ᄒᆞ야 잇더시니 그 ᄢᅴ 世尊이 즉자히 化人ᄋᆞᆯ 보내샤 化人ᄋᆞᆫ 世尊ㅅ神力으로 ᄃᆞ외의 ᄒᆞ샨 사ᄅᆞ미

 

釋詳6:8a
라 虛空애셔 耶輸ᄭᅴ 니ᄅᆞ샤ᄃᆡ 네 디나건 녜 뉫 時節에 盟誓 發願혼 이ᄅᆞᆯ 혜ᄂᆞᆫ다 모ᄅᆞᄂᆞᆫ다
釋迦如來 그 ᄢᅴ 菩薩ㅅ 道理 ᄒᆞ노라 ᄒᆞ야 네손ᄃᆡ 五百 銀 도ᄂᆞ로 다ᄉᆞᆺ 줄깃 蓮花ᄅᆞᆯ 사아 錠光佛ᄭᅴ 받ᄌᆞᄫᆞᆯ 쩌긔 네 發願을 호ᄃᆡ 世世예 妻眷

 

釋詳6:8b

ᄃᆞ외져 ᄒᆞ거늘 내 닐오ᄃᆡ 菩薩이 ᄃᆞ외야 劫劫에 發願行ᄒᆞ노라 ᄒᆞ야 一切 布施ᄅᆞᆯ ᄂᆞᄆᆡ ᄠᅳᆮ 거스디 아니ᄒᆞ거든 네 내 마ᄅᆞᆯ 다 드를따 ᄒᆞ야ᄂᆞᆯ 네 盟誓ᄅᆞᆯ 호ᄃᆡ 世世예 난 ᄯᅡ마다 나라히며 자시며 子息이며 내 몸 니르리 布施ᄒᆞ야도 그딋 혼 조초ᄒᆞ야 뉘읏븐 ᄆᆞ

 

釋詳6:9a
ᅀᆞᄆᆞᆯ
아니호리라 ᄒᆞ더니 이제 엇뎨 羅睺羅ᄅᆞᆯ 앗기ᄂᆞᆫ다
耶輸ㅣ 이 말 드르시고 ᄆᆞᅀᆞ미 훤ᄒᆞ샤 前生앳 이리 어제 본 ᄃᆞᆺᄒᆞ야 즐굽ᄃᆞᄫᆡᆫ ᄆᆞᅀᆞ미 다 스러디거늘 目連이ᄅᆞᆯ 블러 懺悔ᄒᆞ시고 懺ᄋᆞᆫ ᄎᆞᄆᆞᆯ씨니 내 罪ᄅᆞᆯ ᄎᆞ마ᄇᆞ리쇼셔 ᄒᆞ논 ᄠᅳ디오 悔ᄂᆞᆫ 뉘으츨씨니 아랫 이ᄅᆞᆯ 외오 호라 ᄒᆞᆯ씨라 羅睺羅ᄋᆡ 소ᄂᆞᆯ 자바 目連일

釋詳6:9b
맛디시고 울며 여희시니라
淨飯王이 耶輸의 ᄠᅳ들 누규리라 ᄒᆞ샤 즉자히 나랏 어비 ᄆᆞᆮ내ᄅᆞᆯ 모도아 니ᄅᆞ샤ᄃᆡ 金輪王 아ᄃᆞ리 出家ᄒᆞ라 가ᄂᆞ니 그듸내 各各 ᄒᆞᆫ 아ᄃᆞᆯ옴 내야 내 孫子 조차가게 ᄒᆞ라 ᄒᆞ시니 즉자히 쉰 아ᄒᆡ 몯거늘 羅睺羅 조차 부텨ᄭᅴ 가아 禮數ᄒᆞ

 

釋詳6:10a
ᅀᆞᄫᆞᆫ대
부톄 阿難일 시기샤 羅睺羅ᄋᆡ 머리 갓기시니 녀느 쉰 아ᄒᆡ도 다 出家ᄒᆞ니라 부톄 命ᄒᆞ샤 舍利弗을 和尙이 ᄃᆞ외오 和尙ᄋᆞᆫ 갓가ᄫᅵ 이셔 외오다 ᄒᆞ논 마리니 弟子ㅣ 샹녜 갓가ᄫᅵ 이셔 經 ᄇᆡ호아 외올씨니 和尙ᄋᆞᆫ 스스ᅌᅳᆯ 니르니라 目連이 闍梨 ᄃᆞ외야 闍梨ᄂᆞᆫ 法이라 혼 마리니 弟子ᄋᆡ ᄒᆡᆼ뎌글 正케 ᄒᆞᆯ씨라 열 가짓 戒ᄅᆞᆯ ᄀᆞ

 

釋詳6:10b
ᄅᆞ치라
ᄒᆞ시니 열 가짓 戒ᄂᆞᆫ 산 것 주기디 마롬과 도ᄌᆞᆨ 마롬과 婬亂 마롬과 거즛말 마롬과 수을 고기 먹디 마롬과 모매 香 기ᄅᆞᆷ ᄇᆞᄅᆞ며 花鬘 瓔珞 빗이기 마롬과 놀애 춤 마롬과 노ᄑᆞᆫ 平床애 안ᄯᅵ 마롬과 時節 아닌 저긔 밥 먹디 마롬과 金銀 보ᄇᆡ 잡디 마롬괘라 羅雲이 져머 노ᄅᆞᄉᆞᆯ 즐겨 法 드로ᄆᆞᆯ 슬히 너겨 ᄒᆞ거든 부톄 ᄌᆞ로 니ᄅᆞ샤도 從ᄒᆞᅀᆞᆸ디 아니ᄒᆞ더니 後에 부톄 羅雲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부텨

釋詳6:11a
맛나미 어려ᄫᅳ며 法 드로미 어려ᄫᅳ니 네 이제 사ᄅᆞᄆᆡ 모ᄆᆞᆯ 得ᄒᆞ고 부텨를 맛나 잇ᄂᆞ니 엇뎨 게을어 法을 아니 듣ᄂᆞᆫ다
羅雲이 ᄉᆞᆯᄫᅩᄃᆡ 부텻 法이 精微ᄒᆞ야 져믄 아ᄒᆡ 어느 듣ᄌᆞᄫᅩ리ᅌᅵᆺ고
아래 ᄌᆞ조 듣ᄌᆞᄫᅡᆫ 마ᄅᆞᆫ 즉자히 도로 니저 ᄀᆞᆺᄇᆞᆯ ᄲᅮ니니 이제 져믄 저그란 안ᄌᆞᆨ ᄆᆞᅀᆞᆷᄭᆞ장 노다가 ᄌᆞ라면

釋詳6:11b
어루 法을 ᄇᆡ호ᅀᆞᄫᅩ리이다
부톄 니ᄅᆞ샤ᄃᆡ 자ᄇᆞᆫ 이리 無常ᄒᆞ야 므ᄆᆞᆯ 몯 미드ᇙ 거시니 네 목수믈 미더 ᄌᆞ라ᇙ 時節을 기드리ᄂᆞᆫ다 ᄒᆞ시고 다시 說法ᄒᆞ시니 羅雲의 ᄆᆞᅀᆞ미 여러 아니라 羅雲이 出家호미 부텻 나히 셜흔 세히러시니 穆王 닐굽찻 ᄒᆡ 丙戌이라
偸羅國婆羅門迦葉이 三十二

 

釋詳6:12a
相이
ᄀᆞᆺ고 글도 만히 알며 가ᅀᆞ며러 布施도 만히 ᄒᆞ더니 제 겨집도 됴ᄒᆞᆫ 相이 ᄀᆞᆺ고 世間앳 情欲이 업더라
迦葉이 世間 ᄇᆞ리고 뫼해 드러 닐오ᄃᆡ 諸佛도 出家ᄒᆞ샤ᅀᅡ 道理ᄅᆞᆯ 닷ᄀᆞ시ᄂᆞ니 나도 그리 호리라 ᄒᆞ고 손ᅀᅩ 머리 갓고 묏고래 이셔 道理 ᄉᆞ랑ᄒᆞ더니

釋詳6:12b
虛空애셔 닐오ᄃᆡ 이제 부톄 나아 겨시니라 ᄒᆞ야ᄂᆞᆯ 즉자히 니러 竹園으로 오더니 부톄 마조 나아 마ᄌᆞ샤 서르 고마ᄒᆞ야 드르샤 說法ᄒᆞ시니 곧 阿羅漢ᄋᆞᆯ 아니라 威嚴과 德괘 커 天人이 重히 너길ᄊᆡ 大迦葉이라 ᄒᆞ더니 부텨 업스신 後에 法 디녀 後世예

釋詳6:13a
퍼디게 호미 이 大迦葉의 히미라
舍衛國大臣須達이 가ᅀᆞ며러 쳔랴ᅌᅵ 그지업고 布施ᄒᆞ기ᄅᆞᆯ 즐겨 艱難ᄒᆞ며 어엿븐 사ᄅᆞᄆᆞᆯ 쥐주어 거리칠ᄊᆡ 號ᄅᆞᆯ 給孤獨이라 ᄒᆞ더라 給은 줄씨오 孤ᄂᆞᆫ 져머셔 아버ᅀᅵ 업슨 사ᄅᆞ미오 獨ᄋᆞᆫ 늘구ᄃᆡ 子息 업서 ᄒᆞ옷 모민 사ᄅᆞ미라

 

釋詳6:13b
孤獨長者ㅣ
닐굽 아ᄃᆞ리러니 여슷 아ᄃᆞᆯ란 ᄒᆞ마 갓 얼이고 아기 아ᄃᆞ리 양ᄌᆡ 곱거늘 各別히 ᄉᆞ랑ᄒᆞ야 아ᄆᆞ례나 ᄆᆞᆺ ᄃᆞᆰᄒᆞᆫ 며느리ᄅᆞᆯ 어두리라 ᄒᆞ야 婆羅門ᄋᆞᆯ ᄃᆞ려 닐오ᄃᆡ 어듸ᅀᅡ 됴ᄒᆞᆫ ᄯᆞ리 양ᄌᆞ ᄀᆞᄌᆞ니 잇거뇨
내 아기 위ᄒᆞ야 어더보고려 婆羅門이 그 말 듣고 고ᄫᆞᆫ ᄯᆞᆯ 얻니노라

釋詳6:14a
ᄒᆞ야 빌머거 摩竭陁國王舍城의 가니 그 城 안해 ᄒᆞᆫ 大臣護彌라 호리 가ᅀᆞ멸오 發心ᄒᆞ더니 婆羅門이 그 지븨 가 糧食 빈대 그 나랏 法에 布施호ᄃᆡ 모로매 童女로 내야주더니 그 짓 ᄯᆞ리 ᄡᆞᆯ 가져 나오ᄂᆞᆯ 婆羅門이 보고 깃거 이 각시ᅀᅡ 내 얻

 

釋詳6:14b
니논
ᄆᆞᅀᆞ매 맛도다 ᄒᆞ야 그 ᄯᆞᆯ ᄃᆞ려 무로ᄃᆡ 그딋 아바니미 잇ᄂᆞ닛가
對答호ᄃᆡ 잇ᄂᆞ니ᅌᅵ다
婆羅門이 닐오ᄃᆡ 내 보아져 ᄒᆞᄂᆞ다 ᄉᆞᆯᄫᅡ쎠 그 ᄯᆞ리 드러 니ᄅᆞᆫ대 護彌長者ㅣ 나아오나ᄂᆞᆯ 婆羅門이 安否 묻고 닐오ᄃᆡ 舍衛國에 ᄒᆞᆫ 大臣須達이라 호리 잇ᄂᆞ니 아

 

釋詳6:15a
ᄅᆞ시ᄂᆞ니ᅌᅵᆺ가
護彌 닐오ᄃᆡ 소리ᄲᅮᆫ 듣노라
婆羅門이 닐오ᄃᆡ 舍衛國 中에 ᄆᆞᆺ 벼슬 놉고 가ᅀᆞ며루미 이 나라해 그듸 ᄀᆞᄐᆞ니 ᄒᆞᆫ ᄉᆞ랑ᄒᆞᄂᆞᆫ 아기 아ᄃᆞ리 양ᄌᆡ며 ᄌᆡ죄ᄒᆞᆫ 그티니 그딋 ᄯᆞᄅᆞᆯ 맛고져 ᄒᆞ더ᅌᅵ다
護彌 닐오ᄃᆡ 그리 호리라 ᄒᆞ야ᄂᆞᆯ 마초아 흥졍 바지 舍衛國으로 가리잇

 

釋詳6:15b
더니
婆羅門이 글왈ᄒᆞ야 須達ᄋᆡ손ᄃᆡ 보내야ᄂᆞᆯ 須達이 깃거 波斯匿王ᄭᅴ 가아 그 나랏 王 일후미 波斯匿이라 말ᄆᆡ 엳ᄌᆞᆸ고 쳔량 만히 시러 王舍城으로 가며 길헤 艱難ᄒᆞᆫ 사ᄅᆞᆷ 보아ᄃᆞᆫ다 布施ᄒᆞ더라
須達이 護彌 지븨 니거늘 護彌 깃거 나아 迎逢ᄒᆞ야 지

 

釋詳6:16a

드려 재더니 그 지븨셔 차반 ᄆᆡᆼᄀᆞᆯ쏘리 워즈런ᄒᆞ거늘 須達이 護彌ᄃᆞ려 무로ᄃᆡ 主人이 므슴 차바ᄂᆞᆯ 손ᅀᅩ ᄃᆞᆮ녀 ᄆᆡᆼᄀᆞ노닛가 太子ᄅᆞᆯ 請ᄒᆞᅀᆞᄫᅡ 이받ᄌᆞᄫᅩ려 ᄒᆞ노닛가 大臣ᄋᆞᆯ 請ᄒᆞ야 이바도려 ᄒᆞ노닛가
護彌 닐오ᄃᆡ 그리 아닝다
須達이 ᄯᅩ 무로ᄃᆡ 婚姻 위ᄒᆞ야 아

 

釋詳6:16b
ᅀᆞ미오
나ᄃᆞᆫ 이바도려 ᄒᆞ노닛가 사회 녀긔셔 며느리 녁 지블 婚이라 니ᄅᆞ고 며느리 녀긔셔 사회 녁 지블 姻이라 니ᄅᆞᄂᆞ니 댱가들며 셔방 마조ᄆᆞᆯ 다 婚姻ᄒᆞ다 ᄒᆞᄂᆞ니라
護彌 닐오ᄃᆡ 그리 아니라 부텨와 즁과ᄅᆞᆯ 請ᄒᆞᅀᆞᄫᅩ려 ᄒᆞ닁다
須達이 부텨와 즁괏 마ᄅᆞᆯ 듣고 소홈 도텨 自然히 ᄆᆞᅀᆞ매 깃븐 ᄠᅳ디 이실ᄊᆡ 다시 무로ᄃᆡ 엇뎨 부톄라 ᄒᆞᄂᆞ닛가
그 ᄠᅳ들 닐

 

釋詳6:17a
어쎠
對答호ᄃᆡ 그듸ᄂᆞᆫ 아니 듣ᄌᆞᄫᅢᆺ더시닛가
淨飯王 아ᄃᆞ님 悉達이라 ᄒᆞ샤리 나실 나래 하ᄂᆞᆯ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ᄂᆞ리며 一萬神靈이 侍衛ᄒᆞᅀᆞᄫᆞ며 자ᄇᆞ리 업시 닐굽 거르믈 거르샤 니ᄅᆞ샤ᄃᆡ 하ᄂᆞᆯ 우 하ᄂᆞᆯ 아래 나ᄲᅮᆫ 尊호라 ᄒᆞ시며 모미 金ㅅ비치시며 三十

 

釋詳6:17b
二相
八十種好ㅣ ᄀᆞᆺ더시니 金輪王이 ᄃᆞ외샤 四天下ᄅᆞᆯ ᄀᆞᅀᆞᆷ 아ᄅᆞ시련 마ᄅᆞᆫ 늘그니 病ᄒᆞ니 주근 사ᄅᆞᆷ 보시고 世間 슬히 너기샤 出家ᄒᆞ샤 道理 닷ᄀᆞ샤 六年 苦行ᄒᆞ샤 正覺ᄋᆞᆯ 일우샤 魔王ㅅ 兵馬 十八億萬을 降服 ᄒᆡ

 

釋詳6:18a
오샤
光明이 世界ᄅᆞᆯ ᄉᆞᄆᆞᆺ 비취샤 三世옛 이ᄅᆞᆯ 아ᄅᆞ실ᄊᆡ 부톄시다 ᄒᆞᄂᆞ닝다
須達이 ᄯᅩ 무로ᄃᆡ 엇뎨 쥬ᅌᅵ라 ᄒᆞᄂᆞ닛가
對答호ᄃᆡ 부톄 成道ᄒᆞ야시ᄂᆞᆯ 梵天이 轉法ᄒᆞ쇼셔
請ᄒᆞᅀᆞᄫᅡᄂᆞᆯ 轉法은 法을 그우릴씨니 부톄 說法ᄒᆞ샤 世間애 法이 펴디여 갈ᄊᆡ 그우리다 ᄒᆞᄂᆞ니 說法호ᄆᆞᆯ 轉法이라 ᄒᆞᄂᆞ니라 波羅

 

釋詳6:18b
㮈國
鹿野苑에 가샤 僑陳如ᄃᆞᆯ 다ᄉᆞᆺ 사ᄅᆞᄆᆞᆯ 濟渡ᄒᆞ시며 버거 鬱卑迦葉三兄弟의 물 一千 사ᄅᆞᄆᆞᆯ 濟渡ᄒᆞ시며 버거 舍利弗目揵連의 물 五百ᄋᆞᆯ 濟渡ᄒᆞ시니 이 사ᄅᆞᆷᄃᆞᆯ히 다 神足이 自在ᄒᆞ야 衆生ᄋᆡ 福田이

釋詳6:19a
ᄃᆞ욀ᄊᆡ 쥬ᅌᅵ라 ᄒᆞᄂᆞ닝다 福田은 福 바티니 衆生ᄋᆡ 福이 쥬ᅌᅴ 그ᅌᅦ셔 남과 나디 바ᄐᆡ셔 남과 ᄀᆞᄐᆞᆯᄊᆡ 福 바티라 ᄒᆞ니라
須達이 이 말 듣고 부텻긔 發心ᄋᆞᆯ 니ᄅᆞ와 다 언제 새어든 부텨를 가 보ᅀᆞᄫᅩ려뇨 ᄒᆞ더니 精誠이 고ᄌᆞᆨᄒᆞ니 밤누니 번ᄒᆞ거늘 길흘 ᄎᆞ자 부텻긔로 가ᄂᆞᆫ 저긔 城門애 내ᄃᆞ라 하ᄂᆞᆯ 祭ᄒᆞ던 ᄯᅡᄒᆞᆯ 보고 절ᄒᆞ다가

釋詳6:19b
忽然히 부텨 向ᄒᆞᆫ ᄆᆞᅀᆞᄆᆞᆯ 니즈니 누니 도로 어듭거늘 제 너교ᄃᆡ 바ᄆᆡ 가다가 귓 것과 모딘 즁ᄉᆡᆼ이 므ᅀᅴ엽도소니 므스므라 바ᄆᆡ 나오나뇨 ᄒᆞ야 뉘으처 도로 오려 ᄒᆞ더니 아래 제 버디 주거 하ᄂᆞᆯ해 갯다가 ᄂᆞ려와 須達일ᄃᆞ려 닐오ᄃᆡ 須達이 뉘읏디 말라
내 아랫 네 버디라니 부텻 法 듣ᄌᆞᄫᅳᆫ

釋詳6:20a
德으로 하ᄂᆞᆯ해 나아 門神이 ᄃᆞ외야 잇노니 門神ᄋᆞᆫ 門ㅅ 神靈이라 네 부텨를 가 보ᅀᆞᄫᆞ면 됴ᄒᆞᆫ 이리 그지 업스리라
四天下애 ᄀᆞᄃᆞᆨᄒᆞᆫ 보ᄇᆡᄅᆞᆯ 어더도 부텨 向ᄒᆞᅀᆞᄫᅡ ᄒᆞᆫ 거름 나ᅀᅩ 거룸만 몯ᄒᆞ니라
須達이 그 말 듣고 더욱 깃거 다시 ᄭᆡᄃᆞ라 世尊ᄋᆞᆯ 念ᄒᆞᅀᆞᄫᆞ니 누니 도로 ᄇᆞᆰ거늘 길흘 ᄎᆞ

 

釋詳6:20b

世尊ᄭᅴ 가니라 世尊이 須達이 올 ᄄᆞᆯ 아ᄅᆞ시고 밧긔 나아 걷니더시니 須達이 ᄇᆞ라ᅀᆞᆸ고 몯내 과ᄒᆞᅀᆞᄫᅡ 호ᄃᆡ 부텨 뵈ᅀᆞᆸᄂᆞᆫ 禮數를 몰라 바ᄅᆞ드러 묻ᄌᆞᄫᅩᄃᆡ 瞿曇安否ㅣ 便安ᄒᆞ시니ᅌᅵᆺ가 ᄒᆞ더니 世尊이 방셕 주어 안치시니라
그 ᄢᅴ 首陁會天이 首陁

 

釋詳6:21b
會天은

 

釋詳6:21a

淨居天이라 須達ᄋᆡ 버릇 업순 주를 보고 네 사ᄅᆞ미 ᄃᆞ외야 와 世尊ᄭᅴ 禮數ᄒᆞᅀᆞᆸ고 ᄭᅮ러 安否 묻ᄌᆞᆸ고 올ᄒᆞᆫ 녀그로 세 ᄇᆞᆯ 가ᇝ도ᅀᆞᆸ고 ᄒᆞ 녀긔 아ᇇ거늘 그제ᅀᅡ 須達이 설우ᅀᆞᄫᅡ 恭敬ᄒᆞᅀᆞᆸᄂᆞᆫ 法이 이러ᄒᆞᆫ 거시로다 ᄒᆞ야 즉자히 다시 니러 네 사ᄅᆞᆷ ᄒᆞ논 양ᄋᆞ로 禮數ᄒᆞᅀᆞᆸ고 ᄒᆞ녀&긔 안ᄌᆞ니라

그 ᄢᅴ 世尊이 須達이 위ᄒᆞ야 四諦法을 니르시니 듣ᄌᆞᆸ고 깃ᄉᆞᄫᅡ 須陁洹ᄋᆞᆯ 일우니라
그저긔 舍衛國엣 사ᄅᆞ미 邪曲ᄒᆞᆫ 道理ᄅᆞᆯ 信ᄒᆞ야 正ᄒᆞᆫ 法 ᄀᆞᄅᆞ쵸미 어렵더니 須達이 부텨ᄭᅴ ᄉᆞᆯᄫᅩᄃᆡ 如來하 우리 나라해 오샤 衆生ᄋᆡ 邪曲

 

釋詳6:22a
ᄋᆞᆯ
덜에 ᄒᆞ쇼셔
世尊이 니ᄅᆞ샤ᄃᆡ 出家ᄒᆞᆫ 사ᄅᆞᄆᆞᆫ 쇼히 ᄀᆞᆮ디 아니ᄒᆞ니 그ᅌᅦ 精舍ㅣ 업거니 어드리 가료 須達이 ᄉᆞᆯᄫᅩᄃᆡ 내 어루 이ᄅᆞᅀᆞᄫᅩ리ᅌᅵ다
須達이 辭ᄒᆞᅀᆞᆸ고 가 辭ᄂᆞᆫ 하딕이라 ᄒᆞᄃᆞᆺᄒᆞᆫ 마리라 제 아기 아ᄃᆞᆯ 댱가드리고 제 나라ᄒᆞ로 갈 쩌긔 부텨ᄭᅴ와 ᄉᆞᆯᄫᅩᄃᆡ 舍衛國에 도라가 精舍

釋詳6:22b
이ᄅᆞᅀᆞᄫᅩ리니 弟子 ᄒᆞ나ᄒᆞᆯ 주어시든 말 드러 이ᄅᆞᅀᆞᄫᅡ지ᅌᅵ다
世尊이 너기샤ᄃᆡ 舍衛國 婆羅門이 모디러 년기가면 몯 이긔리니 舍利弗옷 聰明ᄒᆞ고 神足이 ᄀᆞᄌᆞ니 舍利弗이 가ᅀᅡ 일우리라 ᄒᆞ샤 舍利弗을 須達이 조차가라 ᄒᆞ시다 길헤 가

 

釋詳6:23a

須達이 舍利弗 더브러 무로ᄃᆡ 世尊이 ᄒᆞᄅᆞ 몃 里ᄅᆞᆯ 녀시ᄂᆞ니ᅌᅵᆺ고
對答호ᄃᆡ ᄒᆞᄅᆞ 二十 里ᄅᆞᆯ 녀시ᄂᆞ니 轉輪王ᄋᆡ 녀샤미 ᄀᆞᄐᆞ시니라 須達이 王舍城으로셔 舍衛國에 올ᄊᆞᅀᅵᆺ 길헤 二十 里예 ᄒᆞᆫ 亭舍옴 짓게 ᄒᆞ야 사ᄅᆞ믈 긔걸ᄒᆞ야 두

 

釋詳6:23b

亭은 亭子ㅣ오 舍ᄂᆞᆫ 지비니 부톄 舍衛國ᄋᆞ로 오시ᇙ 길헤 머므르시ᇙ 지비라 舍衛國애 도라와 精舍 지ᅀᅮᇙ 터흘 어드니 맛당ᄒᆞᆫ ᄃᆡ 업고 오직 太子祇陁ᄋᆡ 東山이 ᄯᅡ토 平ᄒᆞ며 나모도 盛ᄒᆞ더니 舍利弗이 닐오ᄃᆡ ᄆᆞᅀᆞᆯ히 멀면 乞食ᄒᆞ디 어렵고 하 갓가ᄫᆞ면 조티 몯ᄒᆞ리니 이 東山이 甚히


釋詳6:24a
맛갑다
須達이 깃거 太子ᄭᅴ 가ᄉᆞᆯᄫᅩᄃᆡ 이 東山ᄋᆞᆯ 사아 如來 위ᄒᆞᅀᆞᄫᅡ 精舍ᄅᆞᆯ 이ᄅᆞᅀᆞᄫᅡ지ᅌᅵ다
太子ㅣ 우ᅀᅳ며 닐오ᄃᆡ 내 므스거시 不足ᄒᆞ료 젼혀 이 東山ᄋᆞᆫ 남기 됴ᄒᆞᆯᄊᆡ 노니논 ᄯᅡ히라
須達이 다시곰 請ᄒᆞᆫ대 太子ㅣ 앗겨 ᄆᆞᅀᆞ매 너교ᄃᆡ 비들 만히 니르면

釋詳6:24b
몯 삵가 ᄒᆞ야 닐오ᄃᆡ 金으로 ᄯᅡ해 ᄭᆞ로ᄆᆞᆯ ᄢᅳᆷ 업게 ᄒᆞ면 이 東山ᄋᆞᆯ ᄑᆞ로리라
須達이 닐오ᄃᆡ 니ᄅᆞ샨 양ᄋᆞ로 호리ᅌᅵ다
太子ㅣ 닐오ᄃᆡ 내 롱담ᄒᆞ다라
須達이 닐오ᄃᆡ 太子ㅅ法은 거즛마ᄅᆞᆯ 아니ᄒᆞ시ᄂᆞᆫ 거시니 구쳐 ᄑᆞᄅᆞ시리ᅌᅵ다 ᄒᆞ고 太子와 ᄒᆞ야 그 위예 決ᄒᆞ라 가려 ᄒᆞ더

 

釋詳6:25a

그 ᄢᅴ 首陁會天이 너교ᄃᆡ 나랏 臣下ㅣ 太子ㅅ녀글 들면 須達ᄋᆡ 願을 몯 일울까 ᄒᆞ야 ᄒᆞᆫ 사ᄅᆞ미 ᄃᆞ외야 ᄂᆞ려와 分揀ᄒᆞ야 太子ᄭᅴ 닐오ᄃᆡ 太子ᄂᆞᆫ 거즛말 몯ᄒᆞ시ᄂᆞᆫ 거시니 뉘으처 마ᄅᆞ쇼셔
太子ㅣ 구쳐 ᄑᆞᄅᆞᄂᆞᆯ 須達이 깃거 象애 金을 시러여든 頃

 

釋詳6:25b
ᄯᅡ해
즉자히 다 ᄭᆞᆯ오 頃은 온 畝ㅣ니 ᄒᆞᆫ 畝ㅣ 二百 마ᅀᆞᆫ 步ㅣ라 아니한ᄃᆡ 몯 다ᄭᆞ랫거늘 須達이 잔ᄌᆞᆨ고 ᄉᆞ랑ᄒᆞ더니 太子ㅣ 무로ᄃᆡ 앗가ᄫᆞᆫ ᄠᅳ디 잇ᄂᆞ니여 對答호ᄃᆡ 그리 아니라 내 ᄉᆞ랑호ᄃᆡ 어누 藏ㅅ金이ᅀᅡ 마치 ᄭᆞᆯ이려뇨 ᄒᆞ노ᅌᅵ다
太子ㅣ 너교ᄃᆡ 부텻 德이 至極ᄒᆞ샤ᅀᅡ 이 사ᄅᆞ미 보ᄇᆡ

 

釋詳6:26a
ᄅᆞᆯ
뎌리도록 아니 앗기놋다 ᄒᆞ야 須達이ᄃᆞ려 닐오ᄃᆡ 金을 더 내디 말라 ᄯᅡᄒᆞᆫ 그딋 모ᄀᆡ 두고 남ᄀᆞ란 내 모ᄀᆡ 두어 둘히 어우러 精舍 ᄆᆡᆼᄀᆞ라 부텻긔 받ᄌᆞᄫᅩ리라
須達이 깃거 지븨 도라가 精舍 지ᅀᅮᆯ 이ᄅᆞᆯ 磨鍊ᄒᆞ더니 그 나랏 六師ㅣ 듣고 王ᄭᅴ ᄉᆞᆯᄫᅩᄃᆡ 六師ᄂᆞᆫ 外道ᄋᆡ 스승 여스시라 長

 

釋詳6:26b

須達이 祇陁太子ㅅ東山ᄋᆞᆯ 사아 瞿曇沙門 위ᄒᆞ야 精舍ᄅᆞᆯ 지ᅀᅮ려 ᄒᆞᄂᆞ니 우리 모다 ᄌᆡ조ᄅᆞᆯ 겻고아 뎌옷 이긔면 짓게 ᄒᆞ고 몯 이긔면 몯 짓게 ᄒᆞ야지ᅌᅵ다
王이 須達이 블러 닐오ᄃᆡ 六師ㅣ 이리 니르ᄂᆞ니 그듸 沙門弟子ᄃᆞ려 어루 겻굴따 무러보

 

釋詳6:27a

須達이 지븨 도라와 ᄠᆡ 무든 옷 닙고 시름ᄒᆞ야 잇더니 이틋나래 舍利弗이 보고 무른대 須達이 그 ᄠᅳ들 닐어늘 舍利弗이 닐오ᄃᆡ 분별 말라
六師ᄋᆡ 무리 閻浮提예 ᄀᆞᄃᆞᆨᄒᆞ야도 내 바랫 ᄒᆞᆫ 터리ᄅᆞᆯ 몯 무으리니 므슷 이ᄅᆞᆯ 겻고오려 ᄒᆞᄂᆞᆫ고 제 홀 양ᄋᆞ로 ᄒᆞ게 ᄒᆞ라
須達

 

釋詳6:27b

깃거 香湯애 沐浴ᄒᆞ고 새 옷 ᄀᆞ라닙고 즉자히 王ᄭᅴ 가 ᄉᆞᆯᄫᅩᄃᆡ 六師ㅣ 겻구오려 ᄒᆞ거든 제 홀 양ᄋᆞ로 ᄒᆞ라 ᄒᆞ더ᅌᅵ다
그저긔 六師ㅣ 나라해 出令호ᄃᆡ 이 後 닐웨예 城 밧 훤ᄒᆞᆫ ᄯᅡ해 가 沙門과 ᄒᆞ야 ᄌᆡ조 겻구오리라
그 날 다ᄃᆞ라 金 부플 티니 나랏 사ᄅᆞᆷ 十八億이

釋詳6:28a
이다 모ᄃᆞ니 舍衛國 사ᄅᆞ미 十八億이러니 그 나랏 法에 붑 텨 사ᄅᆞᄆᆞᆯ 모도오ᄃᆡ 퉁 부플 티면 十二億 사ᄅᆞ미 몯고 銀 부플 티면 什四億 사ᄅᆞ미 몯고 金 부플 티면 十八億 사ᄅᆞ미 다 몯더니라 六師ᄋᆡ 무리 三億萬이러라
그저긔 나랏 사ᄅᆞ미 모다 王과 六師와 위ᄒᆞ야 노ᄑᆞᆫ 座 ᄆᆡᆼᄀᆞᆯ오 須達인 舍利弗 위ᄒᆞ야 노ᄑᆞᆫ 座 ᄆᆡᆼᄀᆞ니 그 ᄢᅴ 舍利弗

 

釋詳6:28b

ᄒᆞᆫ 나모 미틔 안자 入定ᄒᆞ야 諸根이 괴외ᄒᆞ야 諸根ᄋᆞᆫ 여러 불휘니 눈과 귀와 고콰 혀와 몸과 ᄠᅳᆮ괘라 ᄆᆞᅀᆞ미 一定ᄒᆞᆫ 고대 들면 봄과 드룸과 마톰과 맛 아롬과 모대 다홈과 雜 ᄠᅳᆮ괘 다 업스릴ᄊᆡ 諸根이 괴외타 ᄒᆞ니라 너교ᄃᆡ 오ᄂᆞᆯ 모댓ᄂᆞᆫ 한 사ᄅᆞ미 邪曲ᄒᆞᆫ 道理 ᄇᆡ환디 오라아 제 노포라 ᄒᆞ야 衆生ᄋᆞᆯ 프ᅀᅥᆼ귀만 너기ᄂᆞ니 엇던 德으로 降服ᄒᆡ려뇨 세 德

 

釋詳6:29a
으로
호리라 ᄒᆞ고 세 德은 法身과 槃若와 解脫왜라 解脫ᄋᆞᆫ 버서날씨니 變化ᄅᆞᆯ ᄆᆞᅀᆞᆷ 조초ᄒᆞ야 ᄆᆞᅀᆞ미 自得ᄒᆞ야 드트릐 얽ᄆᆡᅇᅲ미 아니 ᄃᆞ욀씨라 盟誓ᄅᆞᆯ 호ᄃᆡ 나옷 無數ᄒᆞᆫ 劫에 父母 孝道ᄒᆞ고 沙門과 婆羅門과ᄅᆞᆯ 恭敬혼디면 내 처ᅀᅥᆷ 모ᄃᆞᆫᄃᆡ 드러 니거든 한 사ᄅᆞ미 날 위ᄒᆞ야 禮數ᄒᆞ리라 ᄒᆞ더라
그 ᄢᅴ 六

 

釋詳6:29b
師ᄋᆡ
무른 다 모댓고 舍利弗이 ᄒᆞ오ᅀᅡ 아니 왯더니 六師ㅣ 王ᄭᅴ ᄉᆞᆯᄫᅩᄃᆡ 瞿曇ᄋᆡ 弟子ㅣ 두리여 몯오ᄂᆞᅌᅵ다
王이 須達이ᄃᆞ려 닐오ᄃᆡ 네 스스<add>$</add>ᅌᅴ 弟子ㅣ 엇뎨 아니오ᄂᆞ뇨
須達이 舍利弗ᄭᅴ 가 ᄭᅮ러 닐오ᄃᆡ 大德하 사ᄅᆞ미 다 모다 잇ᄂᆞ니 오쇼셔 大德은 큰

 

釋詳6:30a

德이니 舍利弗을 니르니라

舍利弗이 入定으로셔 니러 옷 고티고 尼師檀ᄋᆞᆯ 왼 녁 엇게예 여ᇇ고 尼師檀ᄋᆞᆫ 아ᇇᄂᆞᆫ 거시라 ᄌᆞᄂᆞᆨᄌᆞᄂᆞ기 거러 모ᄃᆞᆫ ᄃᆡ 니거늘 모ᄃᆞᆫ 사ᄅᆞᆷ과 六師왜 보고 ᄀᆞ마니 몯 이셔 自然히 니러 禮數ᄒᆞ더라
舍利弗이 須達ᄋᆡ ᄆᆡᆼᄀᆞ론 座애 올아 아ᇇ거늘 六師

 

釋詳6:30b
ᄋᆡ
弟子 勞度差ㅣ 幻術을 잘 ᄒᆞ더니 한 사ᄅᆞᆷ 알ᄑᆡ 나아 呪ᄒᆞ야 ᄒᆞᆫ 남ᄀᆞᆯ 지ᅀᅳ니 즉자히 가지 퍼디여 모ᄃᆞᆫ 사ᄅᆞᄆᆞᆯ ᄀᆞ리 두프니 곳과 여름괘 가지마다 다ᄅᆞ더니 舍利弗이 神力으로 旋嵐風ᄋᆞᆯ 내니 旋嵐風ᄋᆞᆫ ᄀᆞ장 ᄆᆡᄫᆞᆫ ᄇᆞᄅᆞ미라 그 나못 불휘ᄅᆞᆯ ᄲᅢᅘᅧ 그우리 부러 가지 것 비쳐 드트리

釋詳6:31a
ᄃᆞ외ᄋᆡ ᄇᆞᆺ아디거늘 모다 닐오ᄃᆡ 舍利弗이 이긔여 다 勞度差ㅣ ᄯᅩ 呪ᄒᆞ야 ᄒᆞᆫ 모ᄉᆞᆯ 지ᅀᅳ니 四面이 다 七寶ㅣ오 가온ᄃᆡ 種種 고지 펫더니 舍利弗이 큰 六牙白象ᄋᆞᆯ 지ᅀᅥ내니 六牙ᄂᆞᆫ 여슷 어미라 엄마다 닐굽 蓮花ㅣ오 곳 우마다 닐굽 玉女ㅣ러니 그 못므를

釋詳6:31b
이다 마시니 그 모시 다 스러디거늘 모다 닐오ᄃᆡ 舍利弗이 이긔여 다 勞度差ㅣ ᄯᅩᄒᆞᆫ 뫼ᄒᆞᆯ 지ᅀᅳ니 七寶로 莊嚴ᄒᆞ고 못과 곳과 果實왜 다 ᄀᆞ초잇더니 舍利弗이 金剛力士ᄅᆞᆯ 지ᅀᅥ내야 金剛杵로 머리셔 견지니 杵는 방핫괴니 굴근 막다히 ᄀᆞᄐᆞᆫ 거시라 그 뫼히 ᄒᆞᆫ 것도 업시 믈어디거늘

釋詳6:32a
모다 닐오ᄃᆡ 舍利弗이 이긔여다
勞度差ㅣ ᄯᅩᄒᆞᆫ 龍ᄋᆞᆯ 지ᅀᅳ니 머리 열히러니 虛空애셔 비 오ᄃᆡ 고ᄅᆞᆫ 種種 보ᄇᆡ 듣고 울에 번게 ᄒᆞ니 사ᄅᆞ미 다 놀라더니 舍利弗이 ᄒᆞᆫ 金趐鳥ᄅᆞᆯ 지ᅀᅥ내니 金趐鳥ᄂᆞᆫ 迦樓羅ㅣ라 그 龍ᄋᆞᆯ 자바 ᄧᅳ저 머거늘 모다 닐오ᄃᆡ 舍利

 

釋詳6:32b
弗이
이긔여다
勞度差ㅣ ᄯᅩᄒᆞᆫ 쇼ᄅᆞᆯ 지ᅀᅥ내니 모미 ᄀᆞ장 크고 다리 굵고 ᄲᅳ리 ᄂᆞᆯ캅더니 ᄯᅡ 허위며 소리ᄒᆞ고 ᄃᆞ라오거늘 舍利弗이 ᄒᆞᆫ 獅子ㅣᄅᆞᆯ 지ᅀᅥ내니 그 쇼ᄅᆞᆯ 자바 머긔니 모다 닐오ᄃᆡ 舍利弗이 이긔여다
勞度差ㅣ ᄒᆞ다가 몯ᄒᆞ야 제 모미 夜叉ㅣ ᄃᆞ외야 모미

釋詳6:33a
길오 머리 우희 블 븓고 누니 핏무적 ᄀᆞᆮ고 톱과 엄괘 ᄂᆞᆯ캅고 이베 블 吐ᄒᆞ며 ᄃᆞ라오거늘 舍利弗도 자내 毗沙門王이 ᄃᆞ외니 夜叉ㅣ 두리여 믈러 ᄃᆞ로려 ᄒᆞ다가 四面에 브리 니러셜ᄊᆡ 갈 ᄄᆡ 업서 오직 舍利弗ㅅ 알ᄑᆡ옷 브리 업슬ᄊᆡ 즉자히 降服ᄒᆞ야 업더디여 사ᄅᆞ쇼

 

釋詳6:33b

비니 그리 降服ᄒᆞ야ᅀᅡ 브리 즉자히 ᄢᅳ거늘 모다 닐오ᄃᆡ 舍利弗이 이긔여다
그제ᅀᅡ 舍利弗이 虛空애 올아 거르며 셔며 안ᄌᆞ며 누ᄫᅳ며 ᄒᆞ고 몸 우희 믈 내오 몸 아래 블내오 東녀긔셔 수므면 西ㅅ녀긔 내ᄃᆞᆮ고 西ㅅ녀긔셔 수므면 東녀긔 내ᄃᆞᆮ고 北녀긔셔 수므면 南

 

釋詳6:34a
녀긔
내ᄃᆞᆮ고 南녀긔셔 수므면 北녀긔 내ᄃᆞᆮ고 모미 크긔 ᄃᆞ외야 虛空애 ᄀᆞᄃᆞᆨᄒᆞ야 잇다가 ᄯᅩ 젹긔 ᄃᆞ외며 ᄯᅩᄒᆞᆫ 모미 萬億身이 ᄃᆞ외야 잇다가 도로 ᄒᆞ나히 ᄃᆞ외며 ᄯᅩ 虛空애 ᄯᅡ히 ᄃᆞ외야 ᄯᅡᄒᆞᆯ ᄇᆞᆯᄫᅩᄃᆡ 믈 ᄇᆞᆲᄃᆞᆺᄒᆞ고 므를 ᄇᆞᆯᄫᅩᄃᆡ ᄯᅡ ᄇᆞᆲᄃᆞᆺᄒᆞ더니 이런 變化ᄅᆞᆯ 뵈오ᅀᅡ 神足ᄋᆞᆯ 가다 도

 

釋詳6:34b

本座애 드러 안ᄌᆞ니라 本座ᄂᆞᆫ 本來ㅅ 座ㅣ라
그 ᄢᅴ 모댓ᄂᆞᆫ 사ᄅᆞ미 다 降服ᄒᆞ야 깃거ᄒᆞ더니 舍利弗이 그제ᅀᅡ 說法ᄒᆞ니 제여곰 前生애 닷곤 因緣으로 須陁洹ᄋᆞᆯ 得ᄒᆞ리도 이시며 斯陁含ᄋᆞᆯ 得ᄒᆞ리도 이시며 阿那含ᄋᆞᆯ 得ᄒᆞ리도 이시며 阿羅

 

釋詳6:35a
漢ᄋᆞᆯ
得ᄒᆞ리도 잇더라
六師ᄋᆡ 弟子ᄃᆞᆯ토 다 舍利弗ᄭᅴ 와 出家ᄒᆞ니라
ᄌᆡ조 겻구고ᅀᅡ 須達이 와 舍利弗왜 精舍ᄅᆞᆯ 짓더니 둘히 손ᅀᅩ 줄 마조 자바 터되더니 舍利弗이 젼ᄎᆞ 업시 우ᅀᅥ늘 須達이 무른대 對答호ᄃᆡ 그듸 精舍 지ᅀᅮ려 터흘 ᄀᆞᆺ 始

 

釋詳6:35b
作ᄒᆞ야
되어늘 여슷 하ᄂᆞ래 여슷 하ᄂᆞᄅᆞᆫ 欲界六天이라 그듸가 들 찌비 ᄇᆞᆯ쎠 이도다 ᄒᆞ고 道眼ᄋᆞᆯ 빌여늘 道眼ᄋᆞᆫ 道理옛 누니라 須達이 보니 여슷 하ᄂᆞ래 宮殿이 싁싁ᄒᆞ더라
須達이 무로ᄃᆡ 여슷 하ᄂᆞ리 어늬ᅀᅡ ᄆᆞᆺ 됴ᄒᆞ니ᅌᅵᆺ가
舍利弗이 닐오ᄃᆡ 아랫 세하ᄂᆞᄅᆞᆫ 煩惱ㅣ 만ᄒᆞ고 ᄆᆞᆺ 우흿 두

 

釋詳6:36a
하ᄂᆞᄅᆞᆫ
너무 게을이 便安ᄒᆞ고 가온ᄃᆡ 네찻 하ᄂᆞ리ᅀᅡ 샹녜 一生補處菩薩이 그ᅌᅦ 와 나샤 一生ᄋᆞᆫ ᄒᆞᆫ 번 날씨니 ᄒᆞᆫ 번 다ᄅᆞᆫ 地位예 난 後ㅣ면 妙覺地位예 오ᄅᆞᆯ씨니 等覺位ᄅᆞᆯ 니르니라 等覺애셔 金剛乾慧예 ᄒᆞᆫ 번 나면 後에 妙覺애 오ᄅᆞᄂᆞ니 나다 ᄒᆞ논 마ᄅᆞᆫ 사라나다 ᄒᆞ논 마리 아니라 다ᄅᆞᆫ 地位예 올마가다 ᄒᆞ논 ᄠᅳ디라 法訓이 긋디 아니ᄒᆞᄂᆞ니라 訓은 ᄀᆞᄅᆞ칠씨라 須達

 

釋詳6:36b

닐오ᄃᆡ 내 正히 그 하ᄂᆞ래 나리라
ᄀᆞᆺ 그 말 다ᄒᆞ니 녀느 하ᄂᆞ랫 지븐 업고 네찻 하ᄂᆞ랫 지비 잇더라
주를 다ᄅᆞᆫ ᄃᆡ 옮겨 터되더니 舍利弗이 측ᄒᆞᆫ ᄂᆞᆺ고지 잇거늘 須達이 무른대 對答호ᄃᆡ 그듸 이 굼긧 개야미 보라
그듸 아래 디나건 毗婆尸佛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釋詳6:37a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살며 尸棄佛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살며 毗舍佛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살며 拘留孫佛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살며 迦那含牟尼佛

釋詳6:37b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살며 迦葉佛 위ᄒᆞᅀᆞᄫᅡ 이 ᄯᅡ해 精舍 이르ᅀᆞᄫᆞᆯ 쩨도 이 개야미 이ᅌᅦ셔 사더니 처ᅀᅥᆷ 이ᅌᅦ셔 사던 저그로 오ᄂᆞᆳ낤 ᄀᆞ장 혜면 아ᄒᆞᆫ ᄒᆞᆫ 劫이로소니 제 ᄒᆞᆫ 가짓 모ᄆᆞᆯ 몯 여희여 죽사리도 오랄쎠 ᄒᆞ노라
아마도 福이 조ᅀᆞᄅᆞᄫᆡ이 아니 심

 

釋詳6:38a

몯ᄒᆞᆯ 꺼시라
須達이도 그 말 듣고 슬허ᄒᆞ더라
須達이 精舍 이르ᅀᆞᆸ고 窟 ᄆᆡᆼᄀᆞᆯ오 栴檀香ㄱ ᄀᆞᆯᄋᆞ로 ᄇᆞᄅᆞ고 別室이ᅀᅡ 一千二百이오 쇠붑 ᄃᆞᆫ 지비ᅀᅡ 一百 스믈 고디러라
須達이 精舍 다 짓고 王ᄭᅴ 가 ᄉᆞᆯᄫᅩᄃᆡ 내 世尊 위ᄒᆞᅀᆞᄫᅡ 精舍ᄅᆞᆯ ᄒᆞ마 짓

 

釋詳6:38b
ᄉᆞᄫᅩ니
王이 부텨를 請ᄒᆞᅀᆞᄫᆞ쇼셔 王이 使者 브리샤 王舍城의 가 부텨를 請ᄒᆞᅀᆞᄫᆞ니 그 ᄢᅴ 世尊ᄭᅴ 四衆이 圍繞ᄒᆞᅀᆞᆸ고 큰 光明을 펴시고 天地 드러치더니 舍衛國에 오실 쩌긔 須達ᄋᆡ 지ᅀᅮᆫ 亭舍마다 드르시며 길헤 사ᄅᆞᆷ 濟渡ᄒᆞ샤미 그

 

釋詳6:39a

업더시다
世尊이 舍衛國에 오샤 큰 光明을 펴샤 三千大千世界ᄅᆞᆯ 다 비취시고 밧가라 ᄀᆞ로 ᄯᅡᄒᆞᆯ 누르시니 ᄯᅡ히 다 드러치고 그 잣 안햇 풍륫 가시 절로 소리ᄒᆞ며 一切 病ᄒᆞᆫ 사ᄅᆞ미 다 됴터니 그 나랏 十八億 사ᄅᆞ미 그런 祥瑞ᄅᆞᆯ 보ᅀᆞᆸ고 모다 오나ᄂᆞᆯ 부톄

釋詳6:39b
妙法을 施說ᄒᆞ시니 제여고ᇝ 因緣으로 須陁洹도 得ᄒᆞ며 斯陁含도 得ᄒᆞ며 阿那含도 得ᄒᆞ며 阿羅漢도 得ᄒᆞ며 辟支佛 因緣도 지ᅀᅳ며 無上道理ᄅᆞᆯ 發心ᄒᆞ리도 잇더라 부톄 後에 阿難이ᄃᆞ려 니ᄅᆞ샤ᄃᆡ 이 東山ᄋᆞᆫ

釋詳6:40a
須達ᄋᆡ 산 거시오 나모와 곳과 果實와ᄂᆞᆫ 祇陁ᄋᆡ 뒷논 거시니 두 사ᄅᆞ미 어우러 精舍 지ᅀᅳ란ᄃᆡ 일후믈 太子祇陁樹給孤獨園이라 ᄒᆞ라 須達ᄋᆡ 精舍 지ᅀᅳᇙ 저기 부텻 나히 셜흔 네히러시니 穆王 여듧찻 ᄒᆡ 丁亥라
波斯匿王과 末利夫人괘 부텨 보ᅀᆞᆸ고 과ᄒᆞᅀᆞᄫᅡ 닐오ᄃᆡ 내

釋詳6:40b
ᄯᆞᆯ 勝鬘이 聰明ᄒᆞ니 부텨옷 보ᅀᆞᄫᆞ면 당다ᅌᅵ 得道ᄅᆞᆯ ᄲᆞᆯ리 ᄒᆞ리니 사ᄅᆞᆷ 브려 닐어ᅀᅡ ᄒᆞ리로다
勝鬘이 부텻 功德을 듣ᄌᆞᆸ고 깃거 偈ᄅᆞᆯ 지ᅀᅥ 부텨를 기리ᅀᆞᆸ고 願호ᄃᆡ 부톄 나ᄅᆞᆯ 어엿비 너기샤 나ᄅᆞᆯ 보ᅀᆞᆸ게 ᄒᆞ쇼셔
ᄀᆞᆺ 그리 念ᄒᆞᄂᆞᆫ 저긔 如來 忽然히 虛空애 오샤 無

 

釋詳6:41a
比身ᄋᆞᆯ
現ᄒᆞ샤 無比身ᄋᆞᆫ 가ᄌᆞᆯ뵬 ᄄᆡ 업슨 모미니 부텻 모미 여러 가짓 相이 ᄀᆞᄌᆞ샤 가ᄌᆞᆯ비ᅀᆞ ᄫᅩᆯ ᄄᆡ 업스실씨라 勝鬘經을 니르시니라
世尊이 拘耶尼國에 婆陁和菩薩 위ᄒᆞ야 苦行般若ᄅᆞᆯ 니르시며 苦行般若 니ᄅᆞ샤미 부텻 나히 셜흔 다ᄉᆞ시러시니 穆王 아홉찻 ᄒᆡ 戊子ㅣ라 柳山애 겨샤도 說法ᄒᆞ시며 柳山

 

釋詳6:42a
애셔

 

釋詳6:41b

說法ᄒᆞ샤미 부텻 나히 셜흔 여스시러시니 穆王 열찻 ᄒᆡ 己丑ㅣ라 穢澤애 겨샤도 說法ᄒᆞ시며 穢澤애셔 說法ᄒᆞ샤미 부텻 나히 셜흔 닐구비러시니 穆王 열ᄒᆞᆫ찻 ᄒᆡ 庚寅이라 舍衛國과 摩竭國 ᄉᆞᅀᅵ예 鸚鵡林이 잇더니 鸚鵡王이 부텨를 請ᄒᆞᅀᆞᄫᅡᄂᆞᆯ 부톄 比丘 ᄃᆞ리시고 드러 안ᄌᆞ신대 鸚鵡ᄃᆞᆯ히 부텨를 보&ᅀᆞᆸ고 깃븐 ᄆᆞᅀᆞᄆᆞᆯ 내야 ᄒᆞᆫ 날 命終ᄒᆞ야 忉利天에 나니라

世尊이 摩竭國에 도라오샤 弗沙王 위ᄒᆞ야 說法ᄒᆞ시며 摩竭陁國에 도라오샤미 부텻 나히 셜흔 여들비러시니 穆王 열둘찻 ᄒᆡ 辛卯ㅣ라 鷲峯山애셔 수므시면 忉利宮의 나시고 須彌山애셔 수므시면 炎摩宮의

釋詳6:42b
나샤 炎摩宮은 夜摩宮이라 華嚴 等 經을 니르시며 恐懼樹 아래 겨샤 彌勒 위ᄒᆞ야 修行本起經을 니르시며 本ᄋᆞᆫ 根源이오 起ᄂᆞᆫ 닐씨니 修行本起經은 修行ㅅ根源 니르와ᄃᆞ샨 ᄆᆞᆺ 첫 根源을 닐온 經이라 彌勒 위ᄒᆞ야 說法ᄒᆞ샤미 부텻 나히 셜흔 아호비러시니 穆王 열세찻 ᄒᆡ 壬辰이라 迦毗羅國에 도라오샤 淨飯王

釋詳6:43a
위ᄒᆞ야 說法ᄒᆞ시며 淨飯王 위ᄒᆞ야 說法ᄒᆞ샤미 부텻 나히 마ᅀᆞ니러시니 穆王 열네찻 ᄒᆡ 癸巳ㅣ라 難陁龍王宮寶樓 中에 겨샤 大雲輪請雨經을 니르시며^ 大雲輪請雨經은 부톄 優婆難陁龍王宮內예 大雲輪殿寶樓閣 中에 잇거시ᄂᆞᆯ 三千大千世界龍王ㅅ 中에 ᄆᆞᆺ 위두ᄒᆞᆫ 無邊莊嚴海雲威德輪蓋龍王이 閻浮

 

釋詳6:43b
提예
비오게 ᄒᆞ야 草木이 <add>■</add> <add>■</add> <add>■</add> <add>■</add> 며 ᄌᆞ라게 홀 이ᄅᆞᆯ 請ᄒᆞᅀᆞᄫᅡᄂᆞᆯ 부톄 니ᄅᆞ샨 經이라
楞伽頂에 가샤 楞伽頂은 楞伽山ㅅ뎡바기라 入楞伽山經을 니르시며 入楞伽山經은 楞伽山애 드러가 니ᄅᆞ샨 經이라 楞伽山이 南天竺 바ᄅᆞᆳ ᄀᆞᅀᅢ 잇ᄂᆞ니 神通 잇ᄂᆞᆫ 사ᄅᆞ미ᅀᅡ 가ᄂᆞ니라 補陁巖애 가샤 十一面觀自在經을 니르더시다 補陁ᄂᆞᆫ 혀근 ᄒᆡᆫ 고지라 ᄒᆞ논 마리니

 

釋詳6:44a

이 山애 이 고지 만히 이셔 香내 머리 나ᄂᆞ니 觀自在菩薩 겨신 ᄯᅡ히라 巖ᄋᆞᆫ 바회라 十一 面은 열ᄒᆞᆫ ᄂᆞ치니 열ᄒᆞᆫ ᄂᆞᄎᆡᆺ 觀自在菩薩ㅅ 相ᄋᆞᆯ ᄆᆡᆼᄀᆞ라 供養ᄒᆞᅀᆞᄫᅩᆯ 일 니ᄅᆞ샨 經이라

懼師羅長者ㅣ 킈 석자히러니 부텨도 석잣 모미 ᄃᆞ외샤 敎化ᄒᆞ더시다 부톄 여러 나라해 두루 ᄃᆞᆮ니샤 舍衛國에 오래 아니왯더시니 須達이 長常 그리ᅀᆞᄫᅡ 셜

 

釋詳6:44b
ᄫᅥᄒᆞ더니
부톄 오나시ᄂᆞᆯ 보ᅀᆞᄫᅡ ᄉᆞᆯᄫᅩᄃᆡ 나ᄅᆞᆯ 죠고맛 거슬 주어시든 샹녜 供養ᄒᆞᅀᆞᄫᅡ지이다
부톄 마리와 손톱과ᄅᆞᆯ 바혀 주신대 須達이 塔 셰오 堀 짓고 種種莊嚴ᄒᆞ고 供養ᄒᆞᅀᆞᆸ더라
須達이 病ᄒᆞ얫거늘 부톄 가아 보시고 阿那含ᄋᆞᆯ 得ᄒᆞ리라 니르시니라

 

釋詳6:45a
終ᄒᆞ야
兜率天에 가아 兜率天子ㅣ ᄃᆞ외야 世尊 뵈ᅀᆞᆸ고져 너겨 즉자히 ᄂᆞ려와 世尊ᄭᅴ 뵈ᅀᆞᄫᅡ 머리 조ᄊᆞᆸ고 ᄒᆞ녀긔 안ᄌᆞ니 그저긔 兜率天子ㅣ 모매 放光ᄒᆞ야 祇樹給孤獨園을 다 비취오 偈 지ᅀᅥ 讚嘆ᄒᆞᅀᆞᆸ고 즉자히 도로 수므니라 祇樹&는

 

釋詳6:45b

祇陁樹ㅣ라

阿含經 열두 ᄒᆡ 니르시고 버거 여듧 ᄒᆡᆺ ᄉᆞᅀᅵ예 方等을 니르시니라 方ᄋᆞᆫ ᄀᆞ초 니르실씨오 等은 골오 니르실씨라 方等 처ᅀᅥᆷ 니ᄅᆞ샤미 부텻 나히 마ᅀᆞᆫ 둘히러시니 穆王 열여슷찻 ᄒᆡ 乙未라
世尊이 聖衆ᄃᆞᆯ ᄃᆞ리시고 衆은 한 사ᄅᆞ미니 다 聖人엣 사ᄅᆞ밀ᄊᆡ 聖衆이라 ᄒᆞ니라 欲界 色界 두 하ᄂᆞᆳ ᄉᆞᅀᅵ예 가샤 大集等經을 니르

 

釋詳6:46a
더시니

大集ᄋᆞᆫ 키 모ᄃᆞᆯ씨니 부톄 一切 大衆을 ᄀᆞ장 모도아 니ᄅᆞ샨 經이라 出令ᄒᆞ샤ᄃᆡ 人間이며 天上이며 一切 모딘 귓거시 다 모다 부텻 付囑ᄋᆞᆯ 드러 正法을 護持ᄒᆞ라 付囑ᄋᆞᆫ 말ᄊᆞᆷ 브텨 아ᄆᆞ례 ᄒᆞ고라 請ᄒᆞᆯ씨라 ᄒᆞ다가 아니 오리 잇거든 四天王이 더ᄫᅳᆫ 鐵輪을 ᄂᆞᆯ여보내야 다 조차 자바오라 ᄒᆞ시니


釋詳6:46b
그리 다 모다 부텻 敎授 듣ᄌᆞᄫᅡ 敎授는 ᄀᆞᄅᆞ쳐 심길씨라 各各 큰 盟誓ᄒᆞ야 正法을 護持호리ᅌᅵ다 ᄒᆞ거늘 오직 魔王이 世尊ᄭᅴ ᄉᆞᆯᄫᅩᄃᆡ 瞿曇아 나ᄂᆞᆫ 一切 衆生이 다 부톄 ᄃᆞ외야 衆生이 업거ᅀᅡ 菩提心ᄋᆞᆯ 發호리라 ᄒᆞ더라 大集經 니ᄅᆞ샤미 부텻 나히 마ᅀᆞᆫ다ᄉᆞ시러니 穆王

 

釋詳6:47a

열아홉찻 ᄒᆡ 戊戌이라

方等 여듧 ᄒᆡ 니르시고 버거 스믈ᄒᆞᆫ ᄒᆡᆺ ᄉᆞᅀᅵ예 般若ᄅᆞᆯ 니르시니라 若 처ᅀᅥᆷ 니ᄅᆞ샤미 부텻 나히 쉬니러시니 穆王ㄱ스믈네찻 ᄒᆡ 癸卯ㅣ라

 

釋譜詳節第六

 

-------------------------

 

세존께서 상두산(象頭山)에 가셔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었다.〔용귀()를 위하여 설법하심이 부처님 나이 서른 둘이시더니 목왕(穆王) 육년 을유(乙酉 996 B.C)이다.

부처님이 목련(目連)이더러 이르시되,

「너는 가비라국(迦毗羅國)에 가 아버님과 아주머님께〔아주머님은 대애도(大愛道)를 이르시니, 대애도는 마야부인 형님이시니, 얼굴 생긴 모양이 마야부인만 못하시므로 둘째 부인이 되신 것이다.〕숙부님께 다 안부하고 또 야수타라(耶輸陁羅)를 달래서 은애(恩愛)를 그치게 하여 라후라를 놓아 보내어 상재가 되게 하라. 라후라가 득도해서 돌아가야 어미를 제도하여 열반 얻음을 나와 같이 할 것이다.

목련이 그 말 듣고 곧 입정(入定)하여 폈던 팔을 굽힐 사이에〔빠른 것을 이르는 말이다.〕가비라국에 가서 정반왕께 안부 사뢰니, 야수 부인이 부처님 사자(使者)가 왔다는 말을 들으시고,〔사자는 부리는 사람이다.〕청의(靑衣)를 시켜 기별을 알아 오라 하시니, 라후라를 데려다가 사미(沙彌)를 삼으려 한다고 하므로〔사미는 새로 출가한 사람이니, 세간의 뜻을 끊고 자비의 행적을 쌓는다는 뜻이니, 처음 불법에 들어 세속의 뜻이 많은 까닭으로 모름지기 모진 뜻을 끓고 자비의 행적을 쌓아야 할 것이므로 사미라고 하는 것이다.

야수부인이 그 기별을 들으시고 라후라와 더불어 높은 누()에 오르시어〔누는 다락이다.〕문들을 다 굳게 잠가 두었는데, 목련이 야수의 궁에 가보니, 문이 다 잠기고 소식을 물어 볼 사람이 없어서 곧, 신통력으로 누 위에 날아올라 야수부인 앞에 가 서니, 야수부인이 한 편으로는 걱정하시며, 한 편으로는 기뻐하여 부득이 일어나 절하시고,

「앉으소서」

하시고, 세존의 안부를 묻고 이르시되,

「무슨 까닭으로 오셨습니까?

목련이 사뢰되,

「태자 라후라가 나이 이미 아홉이므로 출가시켜서 성인의 도리를 배워야 할 것이니, 어버이가 자식 사랑함은 많지 않은 동안이거니와 하루 아침에 명종(命終)하여〔명종은 목숨 마친다는 말이다.〕모진 길에 떨어지면 은애를 멀리 여의어 어지럽고 아득하여 어미도 아들을 모르며, 아들도 어미를 모르리니, 라후라가 도리를 얻으셔야 돌아와서 어머님을 제도하여 네 가지 수고를 여의어 열반 득함을 부처님 같으시게 할 것입니다.」〔네 가지 수고는 삶과 늙음과 병과 죽음이다.(생로병사)

 

야수부인이 이르시되,

『여래(如來)께서 태자이시던 시절에 나를 아내 삼으시니, 태자를 섬기되 하늘 섬기듯 하여 한 번도 소홀한 일이 없었는데, 처권(妻眷)된 지 삼 년이 못 차서 세간을 버리시고, 성을 넘어 도망하시어 차닉()이를 돌려보내시고, 맹세하시되,

「도리를 이루어야 돌아오리라.

하시고, 녹비() 옷 입으시고, 미친 사람같이 산골에 숨어서 여섯 해를 고행하셔서 부처님이 되셔 나라에 돌아오셨어도 친하게 대해 주시지 않으시며, 전의 은혜를 잊어버리시고 길 가는 사람과 같이 여기시니, 나는 어버이를 여의고 남에게 붙어살되, 우리 모자가 외롭고 혼미(昏迷)하게 되어 인생의 즐거운 뜻이 없고 죽음을 기다리니, 목숨이 무거운 것이므로 손수 죽지 못하여 섧고 분한 뜻을 가지고 애써 살아가니, 비록 사람의 무리 속에 살아가도 짐승만 못합니다. 서러운 인생이 어찌 이와 같은 일이 있겠습니까? 이제 또 내 아들을 데려가려 하시니, 권속이 되어서 괴로운 일도 이러하구나! 〔권속(眷屬)은 아내와 자식과 종과 집안 사람을 다 권속이라 하는 것이다.〕태자가 도리를 일우시어 당신이 자비를 베푼다고 하시나, 자비는 중생을 편안하게 하시는 것이거늘, 이제 도리어 남의 모자를 여의게 하시니, 서러운 일 중에도 이별 같은 것이 없으니,〔이별은 여윈다는 말이다.〕이것으로 헤아려 보건대 무슨 자비가 계시는 것입니까?

 

하고, 목련이더러 이르시되,

「돌아가서 세존께 내 뜻을 펴서 사뢰소서.

그때에 목련이 가지가지 방편으로 다시금 사뢰어도 야수부인이 조금도 듣지 아니하시므로, 목련이 정반왕께 가서 이 사연을 사뢰니까, 왕이 대애도를 불러 이르시되,

「야수는 여자라서 법을 모르므로 모정에 감겨 붙어 사랑하는 뜻을 쓸어버리지 못하니, 그대가 가서 알아듣게 타일러라.

대애도 부인이 오백 명의 청의를 데려오시고, 야수께 가서 갖가지 방편으로 두어 번 이르셨는데도 야수는 오히려 듣지 않으시고, 대애도 부인께 사뢰시되,

「내가 집에 있을 적에 여덟 나라 왕이 겨루어 다투거늘 우리 부모님이 듣지 않으신 까닭은 석가 태자께서 재주가 기특(奇特)하시므로〔기는 신기하다는 말이고, 특은 남의 무리에서 따로 다르다는 말이다.〕우리 부모님이 나를 태자께 드리시니, 부인께서 며느리 얻으심은 온화하게 살아서 천만 세상에 자손이 이어감을 위하신 것이니, 태자께서 이미 나가시고 또 라후라를 출가시키시어 나라를 이어갈 사람을 끊게 하시니, 어떻게 하는 것입니까?

대애도 부인이 들으시고, 한 말씀도 못하고 있으시더니, 그때에 세존께서 곧 화인(化人)을 보내시어,〔화인은 세존의 신통력으로 되게 한 사람이다.〕허공에서 야수께 이르시되,

『네가 지나간 옛 시절에 맹세 발원(發願)한 일을 생각하느냐? 모르느냐? 석가여래가 그때에 보살의 도리를 하노라고 너에게 오백 은 돈으로 다섯 줄기 연꽃을 사서 정광불(鋌光佛)께 바칠 적에 발원하기를 세세(世世)에 처권(妻眷)이 되고자 하였거늘, 내가 이르되,

「보살이 되어 겁겁(劫劫)에 발원을 행하노라 하여 일체 보시를 남의 뜻 거스르지 아니하거든 네가 내 말을 다 들을 것이냐 하니, 너는 맹세하길「세세(世世)에 태어난 곳마다 나라와 성과 자식과 내 몸에 이르기까지 보시하여도 그대가 한 대로 하여뉘우쁜 마음을 가지지 아니하리라.」하더니, 이제 어찌 라후라를 아끼느냐? 

야수가 이 말을 들으시고, 마음이 훤하여 전생의 일이 어제 본 듯하여 감기어 붙은 마음이 다 스러지기에, 목련이를 불러 참회(懺悔)하시고,〔참은 참는다는 말이니, 내 죄를 참아 버리소서 하는 뜻이고, 회는 뉘우친다는 말이니, 전의 일을 잘못 되었다고 하는 말이다.

라후라의 손을 잡아 목련이에게 맡기시고 울며 여의시었다.

 

금륜왕(輪王) 아들이 출가하러 가니, 그대들도 각각 한 아들씩 내어 내 손자를 따라 가게 하라」

하시니, 곧 쉰 명의 아이가 모여 라후라를 따라 부처님께 가서 예배하니, 부처님께서 아난이를 시키시어 라후라의 머리를 깎이시니, 여느 쉰 명의 아이도 다 출가한 것이다.

 

부처님이 명하시어 사리불(舍利佛)을 화상(和尙)으로 하고, 〔화상은 가까이 있어서 외운다고 하는 말이니, 제자가 늘 가까이 있어서 경을 배워 외운다는 말이니, 화상은 스승을 이르는 말이다.〕목련이를 사리로 하여,〔사리는 법이라는 말이니, 제자의 행적을 바르게 한다는 말이다.〕열 가지 계()를 가르치라 하시니,〔열 가지 계는 1,산 것을 죽이지 말고, 2,도둑질을 말며, 3,음란한 짓을 말며, 4,거짓을 말하지 말며, 5, 술과, 고기를 먹지 말 것이며, 6, 몸에 향수를 바르고 화만과 영락(노리개, 장식)으로 꾸미지 말것이며, 7, 노래하고 춤추지 말 것이며, 8, 높은 평상에 앉지 말 것이며, 9, 때 아닌 적에 먹지 말 것이며, 10, 금은보배를 지니지 말 것이다.

나운(라후라)이 어려서 노는 것을 즐겨 법 듣는 것을 싫어하거든, 부처님이 자주 이르셔도 따르지 아니하더니, 후에 부처님께서 나운이더러 이르시되,

 

「부처를 만남이 어렵고 법 들음이 어려우니, 너는 지금 사람의 몸을 얻어 부처님을 만났는데 어지 게을러 법을 듣지 아니하느냐?

라운이 사뢰되,

「부처님 법이 정미(精微)하여 어린 아이가 어찌 알아듣겠습니까?  전에 자주 들었습니다만 곧 도로 잊어서 가쁠 뿐이니, 지금 어린 때는 아직 마음대로 놀다가 자라면 가히 법을 배우겠습니다.

부처님이 이르시되,

「하는 일이 무상하여 몸을 못 믿을 것이니, 네 목숨을 믿어 어찌 자랄 때를 기다리겠느냐?

하시고, 다시 설법하시니, 라운의 마음이 열려 법의 이치를 알게 되었다.〔나운의 출가함이 부처님 나이 서른셋이더니, 목왕 칠년 병술(丙戌)(995 B.C)이었다.

 

투라국(偸羅國)바라문 가섭()이 삼십 이 상()이 구비 되고, 글도 많이 알며, 가멸어 보시도 많이 하더니, 그의 아내도 좋은 상이 구비되어 세간의 정욕(情欲)이 없었다.

가섭이 세간을 버리고 산에 들어가 이르되,

「제불(諸佛)도 출가하셔야 도리를 닦으시니, 나도 그리 하리라.

하고 손수 머리를 깎고 산골에서 도리를 생각하더니, 허공에서 이르되,

「이제 부처님이 세상에 나 계신다.

하기에, 곧 일어나 죽원(竹園)으로 오더니, 부처님이 마주 나아가 맞으시고 서로 공경하고,

드시어 설법하시니, 곧 아라한(阿羅漢)과를 얻었다. 위엄과 덕이 커서 천인(天人)이 중히 여기므로 대가섭이라 하더니, 부처님 없으신 후에 법을 이어 지녀 후세에 퍼지게 함이 이 대가섭의 힘이었다.

사위국 대신 수달이 부자여서(가멸어) 재물이 넘쳐 보시하기를 즐겨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에게 쥐어주어 건지므로 호()를 급고독(給孤獨)이라 했다.〔급은 준다는 말이고, 고는 어려서 어버이가 돌아간 사람이고, 독은 늙었으되 자식 없어 홀몸인 사람이다.〕급고독 장자(長者)가 일곱 아들을 두었는데, 여섯은 이미 장가 들이고, 막내아들이 생긴 모양이 고와서 각별히 사랑하여 어떻든 마당한 며느리를 얻으려고 바라문더러 이르되,

「어디에 좋은 달이 모양 구비한 이가 있겠는가? 내 아들을 위하여 얻어 주오.

바라문이 그 말 듣고 고운 딸을 얻으려고 빌어먹으며 마갈타국 왕사성에 가니, 그 성 안에 한 대신 호미라는 이가 가멸고 발심하더니, 바라문이 그 집에 가서 양식을 비니까, 그 나라 법에 보시를 하되 모름지기 동녀(童女)로 하여금 내어 주게 하더니, 그 집 딸이 쌀을 가지고 나와서, 바라문이 그 딸을 보고 기뻐하여 이 각시야말로 내가 얻으려는 마음에 맞도다 하여, 그 딸더러 묻되,

「그대 아버님이 계시오?

대답하되,

「계십니다.

바라문이 이르되,

「내가 만나보고자 한다고 사뢰오.

그 딸이 들어가 이르니까, 호미 장자가 나오기에 바라문이 안부를 무고 이르되,

「사위국에 한 대신으로 수달이라는 이가 있으니 아십니까?

호미가 이르되,

「말만 들었소.

바라문이 이르되,

 

「사위국 중에 가장 벼슬이 높고 부자 됨이 이 나라에서 그대와 같으니, 사랑하는 막내아들이 모양과 재주가 으뜸이니, 그대 딸을 맞고자 합니다.

호미가 이르되,

「그리 하리라.

하여, 마침 한 장사치가 사위국으로 갈 사람이 있어서 바라문이 글월을 수달에게 보내니, 수달이 받아보고 기뻐하여 파사닉왕(波斯匿王)께 가서〔그 나라의 왕 이름이 파사닉왕이다.〕말미를 얻어, 재물을 많이 싣고 왕사성으로 가면서 길에서 가난한 사람을 보면 다 보시했다.

수달이 호미의 집에 가니, 호미가 기뻐하여 나와서 맞고 집에 들이여 재우더니, 그 집에서 음식 만드는 소리가 소란하기에 수달이 호미더러 묻되,

「주인이 무슨 음식을 손수 다니면서 만드시오? 태자를 청하여 공양하려 하오? 대신을 청하여 공양하려 하오?

호미가 이르되,

「그게 아닙니다.

수달이 또 묻되,

「혼인(婚姻) 위하여 친척이 오면 공양하려 하오?」〔사위 편에서 며느리 편 집을 혼이라 이르고, 며느리 편에서 사위 편 집을 인이라 이르니, 장가들며 서방 맞음을 다 혼인한다 하는 것이다.

호미가 이르되,

「그게 아니라, 부처님과 중들을 청하려 하는 것입니다.

 

수달이 부처님과 중이란 말을 듣고, 소름이 돋아 자연히 마음에 기쁜 뜻이 생기므로 다시 묻되,

「어찌 부처님이라 합니까? 그 뜻을 일러 주오.

대답하되,

『그대는 듣지 못했습니까? 정반왕의 아들인 실달이라는 이가 태어나시는 날에 하늘에서 서른두 가지 상서(좋은 기운)가 내리시며, 일만 신령이 시위하며, 잡아 주는 사람 없이 일곱 걸음을 걸으시고 이르시되,

「하늘 위나 하늘 아래에 나만이 홀로 높도다.(천상천하 유아독존)

하시며, 몸은 금빛이시고 삼십이상(부처님의 신체적 특징) 팔십종호(부처님의 마음 씀씀이의 좋은 점)를 구비 하시더니, 금륜왕이 되시어 사천하를 주관하시련마는, 늙은이와 앓는 이와 죽은 사람을 보시고 세간을  싫게 여기시어 출가하셔서 도리를 닦으시어 육 년을 고행하시고 정각(正覺)을 이루셔서 마왕(魔王)의 병마 십팔억만을 항복시키고 광명이 세계를 사뭇 비치시어 삼세(三世)의 일을 다 아시므로 부처님이라고 합니다.

 

수달이 또 묻되,

「어찌해서 또 중이라 하오?

대답하되,

『부처님이 성도 하시니까, 범천(梵天)이 「전법하소서」하고 청하니까?〔전법은 법을 굴린다는 말이니, 부처님이 설법하셔서 세간에 법이 퍼져 가므로 굴린다고 하니, 설법함을 전법이라고 하는 것이다.〕바라내국(波羅 木奈國) 녹야원(野苑)에 가셔서 교진여등 다섯 사람을 제도하시고 다음에 울비 가섭 삼 형제의 무리 일천 명을 제도하시고, 또 사리불과 목건련의 무리 오백명을 제도하시니, 이 사람들이 다 신족이 자재하여 중생의 복전《(서민 민초 또는 우민이 복을 지을 수 있게 근원이 되므로)-즉 바른 법으로서 바른 길을 가게 만듦으로 그렇게 표현한다.》이 되므로 중이라 합니다.〔복전은 복 밭이니, 중생의 복이 중에게서 나는 것과 곡식이 밭에서 나는 것이 같으므로 복 밭이라 하는 것이다.

 

 

수달이 이 말을 듣고, 부처님께 발심을 일으키어 언제 새로 얻은 부처님을 가 뵐 것인가 했었는데, 정성이 극진하여 밤눈이 훤하기에 길을 찾아 부처님께로 갈 적에 성문에 내달아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을 보고 절하다가, 홀연히 부처님 향한 마음을 잊으니, 눈이 도로 어두워져 저 혼자 여기되,

「밤에 길을 가다가는 귀신과 모진 짐승이 무서우니, 무슨 까닭으로 밤에 갈 것인가?」하고, 뉘우쳐 도로 집으로 오려 하는데, 전에 한 벗이 죽어 하늘에 났다가 내려와 수달이 더러 이르되,

「수달이 뉘우치지 말라. 내가 전에 네 벗인데, 부처님 법을 들은 덕으로 하늘에 나서 문신(門神)이 되어 있으니,〔문신은 문의 신이다.〕네가 지금 부처님을 가 뵈오면 좋은 일이 끝이 없으리라. 사천하에 가득한 보배를 얻는다 해도 부처님을 향해서 한 걸음 나아감만 못한 것이다.

수달이 그 말  듣고는 더욱 기뻐하여 다시 깨달아 세존을 염()하니까, 도로 눈이 밝아져서 길을 찾아 세존께 갔다.

 

세존께서는 수달이가 올 줄을 미리 아시고, 밖에 나와 거니시더니, 수달이가 바라보고 이루 다 칭찬 할 수 없었으되, 부처님을 뵙는 예배를 몰라서 바로 들어가 묻자오되,「구담(瞿曇) 안부가 편안하십니까?

하니, 세존께서 방석을 내 주시어 앉히시었다.

그때에 수타희천(首陁會天)이〔수타회천은 정거천(淨居天)이다.〕수달의 버릇없는 것을 보고, 네 사람이 되어 내려와서 세존께 예배하고 꿇어 앉아 안부 묻잡고 오른 편으로 세 번 감돌고 한 편에 앉으니, 그제야 수달이 마음이 편치 않아 공경하는 법이 이러한 것이구나 하고, 곧 일어나 네 사람이 하는 모양으로 예배하고 한 편에 앉았다.

그때에 세존께서 수달이를 위하여 사제법을 이르시니, 듣잡고 기뻐하여 수다원(깨침의 네 단계 중 첫 번째)을 이루었다.

그때에 사위국 사람들이 사곡한 도리를 믿어서 바른 법 가르침이 어려웠으니, 수달이 부처님께 사뢰되,

「여래(如來)시여! 우리나라에 오셔서 중생의 사곡함을 덜게 하소서.

세존이 이르시되,

「출가한 사람은 속인과 같지 않으니, 그 곳에 정사(精舍)가 없으니, 어디로 가리오?

수달이 사뢰되,

「제가 가히 이루겠습니다.

수달이 사()하고 돌아가〔사는 하직이라는 말이다.〕제 막내아들 장가들이고, 제 나라로 갈 적에 부처님께 와서 사뢰되,

「사위국에 돌아가 정사를 이루오리니, 제자 한 사람을 보내 주시면 그의 말에 따라 하고자 합니다.

세존께서 생각하시되,

「사위국 바라문이 모질어서 다른 사람이 가면 이기지 못할 것이니, 사리불(舍利弗)이 총명하고 신족(神足)이 구비되었으니, 그가 가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시고, 사리불에게 수달이를 따라가라 하셨다.

길을 가면서 수달이 사리불에게 묻되,

「세존께서 하루 몇 리()를 가십니까?

 

대답하되,

「하루 이십 리를 가시니, 전륜왕이 가심과 같으십니다.

수달이 왕사성에서 사위국으로 오는 사이의 길에 이십 리에 한 정사(亭舍)씩을 짓게 하도록 사람들에게 명하여 두고〔정은 정자고, 사는 부처님이 사위국으로 오시는 길에 머무르실 집이다.

사위국에 돌아와 정사 지을 터를 구하는데, 오직 태자 기타의 동산이 땅도 평평하고 나무도 무성했다.

사리불이 이르되,

「마을이 멀면 얻어먹기가 어렵고, 매우 가까우면 깨끗하지 못할 것이니, 이 동산이 아주 알맞다.

 

수달이 기뻐하여 태자께 가 사뢰되,

「이 동산을 사서 여래를 위하여 정사를 이룩하고자 합니다.

태자가 웃으며 이르되,

「내가 무엇이 부족하리오? 이 동산은 나무가 울창하고 시원하므로 내가 즐거이 노니는 곳이다.

수달이 다시금 청하니까, 태자가 아까워하며 마음속으로 여기되,

「값을 많이 부르면 사지 못 할 것이다.

하여 이르되,

「금으로 땅에 까는 것을 빈 틈 없이 하면 이 동산을 팔겠다.

수달이 이르되,

「이르신 대로 하겠습니다.

태자가 이르되,

「내가 농담으로 한 말이요.

수달이 이르되,

「태자는 거짓말을 아니 하시는 것이니, 부득이 팔아야만 할 것입니다.

하고, 태자와 더불어 관청에 결판을 내려가려는데, 그때에 수타회천이 여기되,

「나라의 신하가 태자의 편을 들면 수달이 원을 이루지 못 할 것이다.」하고 생각하여,

한 사람이 되어 내려와 분간하여 태자께 이르되,

「태자는 거짓말을 못하시는 분이시니 뉘우치지 마소서.

태자가 할 수 없이 동산을 파니, 수달이 기뻐하여 코끼리에 금을 실어 여든 경()

땅에다 곧 다 깔고,〔경은 백 묘이니, 일 묘는 사십 보이다.

많지 않은 곳에 아직 다 깔지 못하여 수달이 답답하게 생각하는데 태자가 묻되,

「아까운 마음이 있는가?

대답하되,

「그게 아닙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은 어느 금고의 금으로 깔아야 다 맞게 깔 것인가 하는 중입니다.

태자가 여기되,

「부처님의 덕이 지극하셔서 이 사람들이 보배를 지극하게 아끼지 않는구나.

하여, 수달이더러 이르되,

「이제 금은 더 내지 마라. 땅은 그대의 몫으로 두고, 나무는 내 몫으로 두어 둘이 어울러

정사를 지어 부처님께 바치리라.

수달이 기뻐하여 돌아가 정사 지을 일을 마련하더니, 그 나라의 육사()들이 듣고 왕께

 

사뢰되,〔육사는 외도의 스승 여섯이다.

「장자(長者)수달이 기타태자의 동산을 사서 구담 사문을 위하여 정사를 지으려 하니,

우리 모두 재주를 겨루어 저들이 이기면 짓게 하고 이기지 못하면 짓지 못하게 하고 싶습니다.

왕이 수달이를 불러 이르되,

「육사가 이렇게 말하니, 그대는 사문 제자더러 가히 겨룰 것인가를 물어 보라.

수달이 집에 돌아와 때 묻은 옷을 입고 시름하고 있었는데, 이튿날 사리불이 보고 왜 그러냐고 물으니까?

수달이 그 내용을 일러 주니, 사리불이 이르되,

「걱정 말라. 육사의 무리가 염부제에 가득해도 내 발의 한 터럭조차도 흔들지 못하리니,

무슨 것으로써 겨루려 하는가? 저들이 하는 대로 하게 하라.

수달이 기뻐하여 향탕에 목욕하고 새 옷 갈아입고, 곧 왕께 가서 사뢰되,

「육사가 겨루려고 하면 저들이 하는 대로 하라고 했습니다.

 

그때에 육사가 나라에 영()을 내되,

이후 이레 되는 날에 성 밖 훤한 곳에 가서 사문과 재주를 겨룰 것이다 했다.

그날이 다달아 금종을 치니, 나라 사람 십팔억이 다 모였다.(사위국 사람이 십팔억인데, 그 나라 법에 종을 쳐서 사람을 모으돠,동종을 치면 십이억이 모이고, 은종을 치면 십사억이 모이고 금종을 치면 십팔억이 다 모였다. 그 중에 육사의 무리는 삼억이었다.

그때에 사람들은 왕과 육사를 위하여 높은 자리를 만들고 수달이는 사리불을 위하여 높은 자리를 만들었다. 그때에 사리불이 한 나무 밑에 앉아서 입정하여 제근이 고요하니,(제근은 여러 뿌리니, 눈 귀 코 혀 몸과 뜻이다. 마음이 일정한 곳에 들면, 보는 것과, 듣는 것과, 맡는 것과, 맛을 아는 것과, 몸에 닿는 것과, 잡스런 것이 다 없어 질 것이므로 제근이 고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마음으로 사리불이 생각하되, 오늘 모인 많은 사람들이 잘못 된 도리를 배운 지가 오래되어 제가 높다고 하여 중생을 푸성귀 정도로 여기니, 나는 어떤 덕으로 항복 시킬 것인가? 세 가지 덕으로 하리라. 생각하고,(세 가지 덕은 법신과 반야와 해탈이다. 해탈은 벗어난다는 말이니, 변화를 마음대로 하고, 마음이 자득하여 티끌에 얽매지 않는다는 말이다.)

사리불이 맹세하되,

내가 무수한 겁에 부모님께 효도하고, 사문과 바라문을 공경한 것이면 내가 처음 사람들 모인 곳에 들어가면 많은 사람들이 나를 위하여 예배하리라.

 

그때에 육사의 무리는 다 모였고, 사리불이 혼자 오지 않았더니, 육사가 왕께 사뢰되,

왕이 수달이더러 이르되,

수달이 사리불께 가서 꿇고 이르되,

사리불이 입정에서 일어나 옷을 고치고, 니사단(尼師檀)을 왼 편 어깨에 얹고<니사단은 앉는 기구이다.>

천천히 걸어 모인 곳에 오니, 모인 사람들과 육사가 보고 가만히 있을 수가 없어, 자연히 일어나 사리불께 예배했다.

사리불이 수달이가 만든 자리에 올라앉으니, 육사의 제자 노도차가 환술을 잘 해서, 많은 사람 앞에 가서 주문을 외워서 한 나무를 만드니까, 곧 가지가 퍼져서 모인 사람을 가려 덮고, 꽃과 열매가 가지마다 달리더니, 사리불이 신력으로 선남풍()을 내니,(선남풍은 매우 사나운 바람이다.) 그 나무를 뿌리째 뽑아 굴려 가지가 꺾어지고 티끌이 되게 부숴버리니까, 모두 이르되,

 

고 했다.

 

노도차가 또 주문을 외워 한 못을 만드니, 사면이 다 칠보고, 가운데 갖가지 꽃이 피었더니, 사리불이 큰 육아()를 가진 백상(白象)을 만들어 내니,(육아는 여섯 개의 어금니이다.) 그 어금니마다 일곱 연꽃이고, 그 꽃 위마다 일곱 옥녀(玉女)가 나서,

그 못 물을 다 마시니까 못이 스러졌다. 모두 이르되,

고 했다.

 

노도차가 또 산 하나를 만드니까, 칠보로 꾸미고 못과 꽃과 과실이 다 갖추어지게 하니까, 사리불이 금강역사를 만들어 내어 금강저로 멀리서 견주니,<저는 방앗공이니, 큰 막대기 같은 것이다.> 그 산이 몽땅 무너져서 모두 이르되,

고 했다.

 

노도차가 또 용 한 마리를 만드니, 머리가 열 개더니, 허공에서 비가 오되, 순 한  갖가지 보배가 떨어지고, 우레질 하고 번개가 쳐서 사람들이 다 놀라더니, 사리불이 금시조(翅鳥) 한 마리를 만들어 내어,<금시조는 가루라이다.> 그 용을 잡아 찢어 먹게 하니까, 모두 이르되,

고 했다.

 

노도차가 또 소 한 마리를 만들어 내니, 몸이 매우 크고, 다리가 굵고, 뿔이 날카롭고, 땅을 후비며, 소리를 지르고 달려오니까, 사리불이 사자 한 마리를 만들어서 그 소를 잡아먹게 하니, 모두 이르되,

고 했다.

 

노도차가 주술을 하다가 안 되니까, 제 몸이 야차가 되어서, 몸이 길고 머리 위에 불이 붙고, 눈이 핏덩어리 같고, 손톱과 발톱과 어금니가 날카롭고 입에서 불을 토하며 달려오니까, 사리불도 몸소 비사문왕(毗沙門王)이 되니, 야차가 두려워하여 뒤로 물러나 달아나려 하다가 사면에 불길이 일어나 갈 데가 없고 다만 사리불 앞에만 불이 없으므로 곧 항복하여 엎드리면서,

고 했다.

 

그제서야 사리불이 허공에 올라 걸으며 서며 앉으며 누움을 해 보이고, 몸 위에서 물을 내고, 몸 아래서는 불을 내고, 동 녘에 숨으면 서 녘에 내닫고, 서 녘에 숨으면 동 녘에 내닫고, 북 녘에 숨으면 남녘에 내닫고, 남녘에 숨으면 북 녘에 내닫고, 몸이 크게 되어 허공에 가득하였다가, 또 적게 되고, 또 한 몸이 만억 신()이 되었다가 도로 하나가 되며, 또 허공에 땅이 되어 땅을 밟되, 물 밟듯 하더니, 이런 변화를 보이고서야 신족(神足)을 거두어 도로 본좌(本座)에 들어 앉으셨다.(본좌는 본래 자리이다.)

그때에 모인 사람들이 다 항복하여 기뻐하더니, 사리불이 그제서야 설법하여 제각기 전생에 닦은 인연으로 수다원을 얻은 사람도 있으며, 사다함을 얻은 사람도 있으며, 아나함을 얻은 사람도 있으며, 아라한을 얻은 사람도 있었다.

육사의 제자들도 다 사리불께 와서 출가했다.

 

재주를 겨루고서야 수달이와 사리불이 정사를 짓더니, 둘이 손수 줄을 마주 잡고

집터를 재는데, 사리불이 까닭 없이 웃어서 수달이가 물으니까, 대답하되,

육천()이다.) 그대가 가서 들 집이 벌써 이루어졌도다.>

 

하고, 도안(道眼)을 빌려 주기에<도안은 도리를 아는 눈이다.> 수달이가 보니, 여섯 하늘에 궁전이 장엄했다. 수달이가 묻되, 사리불이 이르되,

하늘이야말로 늘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이 그곳에 와 나셔서<일생은 한번 나는 것이니,

한 번 다른 지위에 난 뒤면 묘각 지위에 오를 것이니, 등각위(等覺位)를 이르는 것이다. 등각에서 금강 건혜에 한 번 난 뒤에 묘각에 오르니, 난다고 하는 말은 살아난다는 말이 아니라, 다른 지위에 옮겨 간다는 말이다.>법훈(法訓)이 그치지 아니하는 것이다.>(훈은 가르친다는 말이다.) 수달이 이르되,

하고, 방금 그 말을 마치자, 여느 하늘의 집은 없어지고, 네째 하늘의 집이 있더라. 줄을

다른 곳에 옮겨 터를 재는데, 사리불이 한 스런 낯빛이기에, 수달이가 물으니까,

대답하되,

그대가 지난 세상에서 비바시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으며, 시기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으며 비사불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으며 구루손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으며 가나함모니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으며 가섭불불을 위하여 이 땅에 정사를 이룰 적에도 이 개미가 이곳에 살았는데, 처음 이곳에 살던 때부터 오늘날까지 계산하면 아흔 겁이니, 저것이 한 가지 몸을 여의지 못하여 죽살이도 오래구나!

아마도 복이 종요로우니, 심지 아니하지 못할 것이다.>

수달이 그 말을 듣고 슬퍼했더라.

 

수달이가 정사를 이루고 굴()을 만들고, 전단향(檀香) 가루로 바르고, 별실은 일천 이백이고, 종을 단 집은 일백 스물 곳이더라. 수달이 정사를 다 짓고, 왕께 가 사뢰되,

왕이 심부름하는 사람을 부려서 왕사성에 가 부처님을 청하니, 그때에 세존께서는 사중(四衆)에 둘러 싸여 큰 광명을 펴시고, 천지가 진동했다. 사위국에 오실 적에 수달이가 지은 정자마다 들르시며, 길에서 사람 제도하심이 그지없으시었다.

 

세존이 사위국에 오시어 큰 광명을 펴시어 삼천대천세계(三天大天世界)를 다 비치시고, 발가락으로 땅을 누르시니, 땅이 다 진동하고, 그 성 안에 있는 악기에서 절로 소리가 나며, 일체 앓는 사람이 다 좋아 지더니, 그 나라의 십팔 억 사람이 그런 상서(祥瑞)를 보고 모두 모여 오기에, 부처님이 묘법(妙法)을 시설(施說)하시니, 제각기의 인연으로 수다원도 얻으며, 사다함도 얻으며, 아나함도 얻으며, 아라한도 얻으며, 벽지불(僻支佛)인연도 지으며, 무상(無上) 도리(道理)를 발심(發心)한 사람도 있었더라.

 

부처님이 후에 아난이더러 이르시되,

울러 정사를 지었기에, 이름을 태자(太子) 기타수 급고독원이라고 하라.>

(수달이 정사를 지을 때가 부처님 나이 서른넷이시더니, 목왕 팔년 정해(丁亥)이다.

 

파사닉왕과 말리부인이 부처님을 보고 칭송하여 이르되,

사람을 부려서(시키어) 일러 주어야 하겠다.>

승만이 부처님의 공덕 듣고 기뻐하여 게()를 지어 부처님을 기리고 원하되,

방금 그리 생각하는데 여래께서 홀연히 허공에 오셔서 무비신(無比身)을 나타내시어<

비신은 비교할 데가 없는 몸이니, 부처님 몸이 여러 가지 상을 구비하셔서 비교할 데가 없

으시다는 말이다.> 승만경을 이르셨다.

 

 

세존께서 구야니국에서 바타화보살 위하여 고행(苦行) 반야를 이르시고,<고행 반야 이르심이 부처님 나이 서른다섯이시더니, 목왕 구년 무자(戊子)<993 B.C>이다.> 유산()에 계시면서도 설법 하셨으며, <유산에서 설법하심이 부처님 나이 서른여섯이시더니, 목왕 십년 기축(己丑)<992 B.C>이다.> 예택(穢澤)에 계시면서도 설법하셨으며,<예택에서 설법하심이 부처님 나이 서른 일곱이시더니, 목왕 십일년 경인(庚寅)<991 B.C>이다.>

사위국과 마갈타국 사이에 앵무림(鸚鵡林)이 있었는데, 앵무왕이 부처님을 청하니, 부처님이

비구들을 데리고 앉으시니까 앵무들이 부처님을 보고 기쁜 마음을 내어 한 날에 모두 죽어

도라천에 가서 났다.

 

세존께서 마갈타국에 돌아오셔서 불사왕을 위하여 설법하시고,<마갈타국에 돌아오심이 세존

 나이 서른여덟이시니, 목왕 십이년 신묘(申卯)이다.

추봉산에 숨으시면 도리궁에 나시고, 수미산에 숨으시면 염마궁에 나시며<염마궁(炎摩宮)

야마궁(夜摩宮)이다.

화엄등경을 이르시며, 공구수() 아래 계시면서 미륵 위하여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

이르시며,<본은 근원이고, 기는 일어난다는 말이니, 수행본기경은 수행의 가장 첫 근원을 이른 것이다. 미륵 위하여 설법 하심이 부처님 나이 서른 아홉이시더니, 목왕 십삼년 임진(壬辰),<989 B.C>이다.

가비라구에 돌아오셔서 정반왕 위하여 설법하셨으며,<정반왕 위하여 설법하심이 부처님 나이 마흔이시더니, 목왕 십사년 계사(癸巳)<988 B.C>이다.

난타용왕궁 보루(寶樓) 중에 계시면서 대운륜청우경(大雲輪請雨經)을 이르시며,<대운륜청우경은 부처님이 우바난타용왕궁 안에 대운륜전 보루각 중에 있어시거늘 삼천대천세계 용왕 중에 으뜸가는 무변(無邊) 장엄(莊嚴) 해운(海雲) 위덕(威德) 윤개() 용왕이 염부제에 비를 오게 하여 초목과 곡식을 자라게 할 일을 청하여 부처님이 이르신 경이다.>

능가정(楞伽頂)에 가셔서<능가정은 능가산 꼭대기이다.> 입능가산경(入楞伽山經)을 이르시며,<능가산경은 능가산에 들어가 이르신 경이다. 능가산은 남천축국 바닷가에 있으니, 신통력 있는 사람이라야 가는 곳이다.> 보타암에 가셔서 십일면관자재경<十一面觀自在經>을 이르시었다.<보타는 작은 흰 꽃이란 말이니, 이 산에 이 꽃이 많이 있어서 향내가 멀리까지 나니, 관자재보살이 계시는 곳이다. 암은 바위다. 십일 명은 열 한 낯이니, 열 한 얼굴의 관자재보살의 상을 만들어 공양할 일을 이르신 것이다.>

 

구사라장자가 키가 석 자이더니, 부처님도 석 자 몸이 되셔서 교화하셨다.

부처님이 여러 나라에 두루 다니시고, 사위국에 오래 오지 앉으셨더니, 수달이 늘 그리워하여 괴로웠는데, 마침 부처님이 오셔서 뵙고 사뢰되, 부처님이 머리털과 손톱을 베어 주시니, 수달이 그것을 넣은 탑을 세우고, 굴을 지어 갖가지로 장엄(莊嚴)하고 공양했다. 수달이가 병이 들어서 부처님이 가보시고 아나함(阿那含)을 얻으라고 이르셨다. 수달이 목숨 마치고 도솔천에 가서 도솔천자(兜率天子)가 되어 세존을 뵙고자 하여 곧 내려와 세존께 뵙고 머리 조아리고 한 편에 앉으니, 그때에 도솔천자가 몸에서 빛을 내어 기수급고독원(祗樹給孤獨園)을 다 비추고, ()를 지어 찬탄하고, 곧 도로 숨었다.(기수는 기타수이다.)

 

아함경(阿含經) 열두 해 이르시고, 다음 여덟 해 동안에 방등경(方等經)을 이르셨다.(방은 갖추어 이르는 것이고, 등은 고루 이르는 것이다. 방등경 처음 이르심이 부처님 나이 마흔둘이시더니, 목왕 십 육년 을미(乙未)(986 B.C)이다.)세존께서 성중(聖衆)들을 데리시고,(중은 많은 사람이니, 다 성인이시므로 성중이라 하는 것이다.) 욕계(欲界), 색계(色界)두 하늘 사이에 가셔서 대집등경(大集等經)을 이르시더니,(대집은 크게 모은다는 말이니, 부처님이 일체 대중을 다 모아서 이르신 것이다.) ()을 내리시되,

 

을 호지(護持)하라.(부촉은 말씀 붙여 어떻게 하라고 청한다는 말이다.)만일 오지 않는 이가 있으면 사천왕이 더운 철륜()을 날려 보내서 다 따라가 잡아 오너라.>하시니, 그렇게 다 모여 부처님 교수(敎授)를 듣잡고(교수는 가르쳐서 전한다는 말이다.) 각각 큰 맹세하여, 하니, 다만 마왕(魔王)이 세존께 사뢰되,

고 했다.(대집경 이르심이 부처님 나이 마흔다섯이시더니, 목왕 십 구년 무술(戊戌)(9

83 B.C)이다.)

 

방등경을 여덟 해 이르시고, 다음 스물한 해 동안에 반야경을 이르시었다.<반야를 처음 이르심이 부처님 나이 쉰이시더니, 목왕 이십 사년 계묘(癸卯)(978 B.C)이다>

728x90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보상절 13권  (1) 2021.09.22
석보상절 9권  (0) 2021.09.22
반야심경  (1) 2021.09.03
능엄경 내용  (2) 2021.01.23
능엄경 10권  (0) 2020.03.15